방위산업 최대 집적지로 평가받고 있는 경남에 ‘방위산업혁신클러스터’가 조성된다. 경남도와 창원시는 방위산업혁신클러스터 시범사업에 선정됐다고 23일 밝혔다.
방위산업혁신클러스터는 지역 첨단 방위산업을 육성해 스마트 국방을 실현하기 위한 방위사업청의 역점 사업이다.
경남 창원에는 전차·자주포 관련 기업이 밀집해 있고 사천에는 군용기, 거제는 잠수함 관련 대·중·소 기업이 밀집해 있다. 이 때문에 협력이 쉽고 연구개발 결과물의 조기 사업화가 쉬운 점이 경남 선정의 배경이다.
이에 따라 올해부터 5년간 국비 210억원을 포함해 500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방산 부품 국산화·첨단화 생태계를 조성한다. 1단계로 경남권을 스마트 방산 플랫폼으로 구축하고 2단계는 동남권으로 성과를 확대하고 마지막 3단계로 전국 확산을 추진한다.
우선 방위산업의 핵심인 무기체계 부품 국산화에 나선다. 전략물자, 핵심·단종 품목 중 19개 부품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을 지원한다. 대상 과제는 국산화 11개, 첨단화 과제 8개로 100억 원의 사업비가 5년간 투입한다.
정비창 등 군과 KAI, 현대로템 등으로 구성된 연구개발 소요발굴 협의체를 운영한다. 협의체에서 발굴된 과제는 수행 기업 선정을 거쳐 산학연 오픈랩 형태의 ‘부품 국산화 연구실’에서 연구개발을 수행한다.
도와 창원시는 종합적인 기업 지원을 위해 창원국가산단 인근에 ‘경남창원방산혁신지원센터’를 건립한다. 센터는 2022년까지 150억원을 투입해 지하1층 지상 4층 규모로 신축한다. 여기에는 방산 시험 장비 13종 18대 시가 70억원어치를 들여놓는다.
센터는 방산 중소기업 육성, 부품 국산화 확대, 방산 혁신·육성 협의회 지원 등 이번 사업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수출 경쟁력 강화에 55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방산 중소기업의 성장을 지원한다. 또 50억원을 투입해 방위산업 창업 기업 25곳을 양성한다.
실무형 방산 전문 인력 100명도 양성한다. 지역 산업과 연계한 일자리를 지원하는 ‘일자리 창출 플랫폼’도 구축한다.
한편 경남도는 이번 사업 추진으로 생산유발 843억 원, 부가가치 유발 373억 원, 일자리 창출 1000명을 예상했다.
김영삼 도 산업혁신국장은 “지역 방위산업 협력생태계의 성공 모델을 만들기 위해 경남의 모든 방산 역량을 집중하겠다”면서 “이번 사업은 코로나19 등으로 산업위기를 겪고 있는 지역 경제에 새로운 도약의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
경남도·창원시, ‘방위산업혁신클러스터’선정
입력 2020-04-23 15: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