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 한국경제 선장률이 -1.4%로 떨어졌다.금융위기를 겪던 2008년 4분기(-3.3%) 이후 11년 3개월 만에 가장 낮은 성장률이다. 한국은행은 실질 국내총생산(GDP) 통계에서 전기 대비 1분기 성장률이 이처럼 집계됐다고 23일 밝혔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이 2월부터 본격화하면서 민간 소비와 서비스업 생산이 1998년 외환위기와 버금가는 충격을 받았기 때문이다. 1분기 민간소비는 전기 대비 6.4% 감소했다. 감소율은 외환위기 때인 1998년 1분기(-13.8%) 이후 가장 크다.
민간소비는 GDP의 절반을 차지하는 주요 항목이다. 1분기 민간소비는 전체 실질 GDP를 3.1%포인트 떨어뜨렸다. 한은 관계자는 “코로나19는 국내 1분기 성장률을 2% 혹은 그 이상 낮춘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생산 측면에서는 서비스업이 2.0% 감소했다. 역시 외환위기 때인 1998년 1분기(-6.2%) 이후 최대 감소율이다. 특히 운수업(-12.6%)의 감소폭이 가장 컸다. 도소매 및 숙박음식업(-6.5%),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6.2%)도 코로나19 충격을 고스란히 받았다.
박양수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코로나19 확산으로 민간소비 경제활동이 크게 위축했다”며 “중국과 비교하면 한국은 충격을 덜 받은 편이나 과거 성장률 추이를 봤을 때 괜찮은 수준의 성장세라고 하긴 어렵다”고 말했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