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일본의 군함도 전시관이 조선인 강제 노동 사실을 적시하지 않는 등 역사 왜곡이 심각하다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 시정을 촉구했다.
서 교수는 23일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군함도에서 찍은 것으로 보이는 사진 한 장을 올리고 “지난달 말 일본 언론들은 도쿄 신주쿠구 총무성 제2청사 별관에 산업유산정보센터 개관식을 가졌다고 전했다”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전시관에는 일본 근대 산업시설 자료가 전시됐지만 군함도의 조선인 강제징용에 대한 언급은 빠졌다”며 “오히려 군함도에서 ‘조선인 노동자가 주위로부터 괴롭힘을 당한 적이 없다’고 말하는 섬 주민들의 증언 자료 등을 소개하는 등 강제노동에 관한 역사 왜곡을 담아 논란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서 교수는 “유네스코 오드레 아줄레 사무총장 및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의 21개 위원국에 일본이 2015년에 약속한 내용을 제대로 이행하고 있지 않다는 사실을 정확히 짚어주는 이메일을 보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메일에는 2015년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당시 일본의 사토 구니 주유네스코 대사가 ‘1940년대 일부 시설에서 수많은 한국인과 여타 국민이 본인의 의사에 반해 가혹한 조건 아래 강제노역을 했다’고 밝힌 사실을 강조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유네스코의 최대 후원국인 일본의 눈치를 보지 말고 일본 정부와 우익단체가 더이상 강제노역에 관해 역사 왜곡을 할 수 없도록 더 철저히 감시해 달라고 당부했다”고 강조했다.
서 교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전 세계의 혼란을 틈타 쥐도 새도 모르게 도둑장가 가듯 전시관을 개관한 것”이라며 “한국 언론사들의 취재도 막는 것을 보면 진실이 드러날까 두렵긴 하나 보다”라고 꼬집었다.
끝으로 “아무쪼록 이런 상황에서 분노만 할 것이 아니라 국제사회에 계속해서 알려 전 세계적인 여론으로 일본 정부를 꾸준히 압박해 나가겠다”며 “정말이지 누가 이기나 해 보자”고 다짐했다.
군함도 전시관으로도 불리는 해당 센터는 ‘역사 전체를 이해할 수 있는 전시 전략’을 마련하라는 세계유산위원회의 결의하에 조성됐다. 세계유산위원회는 군함도와 나가사키 조선소 등 근대 산업시설을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며 이 시설들에서 조선인의 인권을 침해하며 강제로 일을 시켰던 가혹한 실상도 함께 소개하라고 권고했다.
그러나 실제 전시관에는 일본 근대 산업시설 자료만 전시됐다. 군함도 등의 조선인 강제노역은 언급되지 않았고 오히려 군함도에서의 조선인 강제노역을 부정하는 섬 주민들의 증언 자료 등 왜곡된 내용만 소개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코로나19 사태가 벌어지자 센터 개관식을 정부 관계자 일부만 참석한 가운데 진행하는 꼼수를 썼고 한국 언론사들의 취재도 막은 바 있다.
군함도는 나가사키항 인근에 있는 동서 160m, 남북 480m, 둘레 1.2㎞의 작은 탄광촌 섬이다. 1940년대에는 800여명의 조선인이 열악한 환경에서 강제노역에 동원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화랑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