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조경태 “‘김종인 비대위’ 과반 찬성은 아니다”

입력 2020-04-22 16:29 수정 2020-04-22 18:54
미래통합당 심재철 당대표 권한대행이 22일 국회에서 열린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은 조경태 최고위원. 연합뉴스

미래통합당이 4·15 총선 참패 이후 당을 수습할 지도체제를 정하는 설문 조사 결과를 왜곡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통합당은 22일 오전 20대 국회의원과 21대 국회 당선인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결과 ‘김종인 비대위 찬성’ 의견이 과반을 넘겼다고 밝혔다. 다만 구체적인 찬성 숫자를 밝히지 않고 과반이라고만 했는데 실제로는 40%대 초반이라는 주장이 나온 것이다. 당내에선 당분간 지도체제를 둘러싼 갑론을박이 벌어질 전망이다.

조경태 최고위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김종인 비대위를 선택한 비율은) 40%대 초반이며 반대는 30%대 중반, 기타는 18% 정도였다”며 “기타에는 ‘김종인 체제’가 아니라 내부에 있는 사람을 하자거나 전당대회를 잘 치르자는 이야기가 있었다”고 주장했다. 조 최고위원은 “(김종인 비대위 찬성이) 과반이 될 수가 없다. 그것은 거짓말”이라고도 말했다.

조 최고위원은 정확한 설문 결과가 공개되지 않은 데 대해 “감추고 싶으니까 공개를 못한 것”이라며 “과반을 넘지 못해서 공개하지 못한 것 아니냐”고 말했다.

그는 전당대회 전까지 당을 이끄는 관리형 비대위를 거듭 주장했다. 조 최고위원은 “당을 조기에 안정화시키려면 비대위 체제를 길게 가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이어 “비대위의 성격과 목적과 기간 등이 불투명한 상태이기 때문에 길어야 전당대회까지만 하도록 하고 이에 부합하는 인물이 비대위원장을 맡아야 한다”고도 했다.
김종인 전 미래통합당 총괄선대위원장. 연합뉴스

이에 앞서 심재철 당대표 권한대행은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 후 “20대 국회의원과 21대 당선자 142명 중 연락이 되지 않는 2명을 제외한 140명에 대해 전화를 돌려서 의견을 취합했다”며 “그 결과 ‘김종인 비대위’가 다수였다. 김종인 비대위로 가도록 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심 권한대행은 “의견이 어느 쪽으로 나오든지 한 표라도 많은 쪽으로 하겠다고 했는데 조사 해본 결과 과반 넘는 의견이 나와 비대위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심 권한대행은 비대위 기간과 권한 등에 대한 질문에는 “김종인 전 총괄선대위원장과 통화를 해보겠다”고 말했다. 김 전 위원장이 비대위원장을 맡지 않을 경우에 대해선 “글쎄 (김 전 위원장을) 만나 봐야한다. 아마 허락하지 않겠느냐”고 했다. 심 권한대행은 23일 김 전 위원장을 만날 예정이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