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관위 “선거조작 없었다…부정선거 의혹 강경 대응”

입력 2020-04-22 14:51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4·15 총선 관련 일부 유튜버와 낙선한 의원 등이 부정선거 의혹을 제기한 것에 대해 “정확한 근거 없이 무모한 의혹만으로 국민 통합을 저해하고 사회 분위기를 어지럽히는 행위에 대해선 당사자 및 관련자 고발 등 강경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선관위는 22일 보도자료를 내고 “이번 총선의 투·개표를 관리하는 데에는 전국적으로 30만 여명이 참여했으며 부정이 있다는 건 선거 관리과정에 참여한 모든 사람이 조작에 가담하지 않고서는 불가능한 일”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선관위는 “공직선거법 제186조에 따라 투표지, 투표록, 개표록, 선거록 기타 선거에 관한 서류는 보관한다”면서 “선거의 효력에 이의가 있는 선거인은 무책임하고 근거 없는 의혹만을 유포하지 말고 선거소송을 제기해 모든 의혹을 명백히 밝히라”고 주장했다.


선관위는 직접 의혹 일부를 반박했다. 앞서 일부 보수 유튜버는 서울·인천·경기 등 일부 수도권 지역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미래통합당 후보 간 평균득표비율이 일정하고 63% 대 36%의 비율을 보인다며 선관위가 사전투표 결과를 조작했다고 주장했다. 선관위는 이에 대해 “양당 외 정당 추천 후보와 무소속 후보의 득표를 제외하고 일부 지역에서 두 정당의 득표율만을 비교한 수치로 결과가 조작됐다고 주장하는 건 지나친 비약”이라고 지적했다.

일부 선거구에서 정당의 관내득표율 대비 관외득표율이 동일하게 나왔다는 의혹은 단순한 우연의 일치로 일축했다. 선관위는 “전체 선거구 253곳 가운데 11곳(4.3%)만이 같은 비율”이라며 “전국적으로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고 할 수 없다”고 했다.

선관위는 또 투표함 교체와 바꿔치기, 투표지 파쇄 의혹 등에 대해서도 “전혀 불가능하다”고 일축했다. 선관위는 현재 전국의 구·시·군선관위에서의 관내사전투표함 보관상황이 녹화된 CCTV 영상을 보관하고 있다. 누구든지 영상 확인을 요청하는 경우 이를 공개할 예정이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