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당, 민주당 향해 “긴급재난지원금 정쟁 수단 삼지말라”

입력 2020-04-21 17:20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대상과 지원 규모와 관련해 여당과 야당, 정부가 이견을 보이는 가운데 미래통합당은 21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해 피해를 본 국민들에게 긴급재난지원금을 지급해야 한다는 입장에 변함이 없다”며 “긴급재난지원금을 정쟁의 수단으로 삼지말라”고 주장했다.

김정재 통합당 대변인은 이날 오후 논평을 내고 “예산 편성 권한은 물론 다양한 상황을 고려해 지급 대상과 지급 규모를 결정해서 국회에 넘겨야 할 책임은 오직 정부와 여당에 있다”며 “그럼에도 정부와 여당은 이 재난지원금마저 행여 자신들의 이익에 도움이 되는지를 골몰하며 미루기만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 대변인은 “마치 미래통합당이 (긴급재난지원금 지급을) 반대하는 것처럼 호도하는 행위는 절대 묵과할 수 없다”며 “애당초 정부와 여당 내에서조차 합의가 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긴급재난지원금은 말 그대로 긴급하게 재난에 대응하기 위해 국민들께 돌려드리는 소중한 혈세”라며 “미래통합당은 지급대상과 규모는 물론 이어질 상황까지도 면밀히 살펴 대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통합당 안팎에선 긴급재난지원금을 두고 이견이 커지고 있다. 4·15 총선 참패의 후폭풍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당론조차 모으지 못하고 우왕좌왕하는 모양새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장을 맡고 있는 김재원 통합당 정책위의장은 이날 오후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가 재정고갈 상태를 감안해 하위소득 70% 가정에 최대 100만원을 지급하는 예산 편성을 했다”며 “문재인 정부가 제출한 추경 예산안은 우리 재정이 감내할 수 있는 한에서 정부가 나름대로 합리성을 갖추고 편성한 것으로 확인된다”고 밝혔다. 통합당이 정부안(기획재정부안)에 힘을 실은 것이다. 동시에 지급 대상을 하위 70%가 아닌 전국민으로 해야 한다는 더불어민주당의 주장에 반박한 것이다.

다만 통합당 또한 총선 당시에는 황교안 전 대표가 전 국민에게 1인당 50만원을 지원하겠다고 약속한 만큼 말 바꾸기에 대한 비판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5월 말까지 예산안 협상이 지지부진할 경우 결국 통합당이 다시 ‘야당의 발목 잡기’ 프레임에 걸려들 가능성도 크다. 실제로 이인영 민주당 원내대표는 “모든 것은 통합당이 선거 때 한 약속을 지키느냐 마느냐에 달렸다”며 “이미 지난 선거 과정에서 여야 간 국민 모두에게 가장 빠르게 재난지원금을 지급하자는 공감대가 있었다”고 강조했다. 전국민에게 재난지원급을 지급키로 했던 통합당을 향해 약속을 지키라고 압박한 것이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