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코로나19 항체 양성률 거의 한 자릿수…장기전 불가피”

입력 2020-04-21 14:57 수정 2020-04-21 16:39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항체를 가진 인구 비율이 매우 낮다는 해외 연구결과를 언급하며 “치료제 또는 백신이 개발·보급되기 전까지는 철저한 방역대책이 같이 가야 한다는 의미”라고 진단했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부본부장은 21일 정례브리핑에서 “세계보건기구(WHO)가 의미 있는 수치를 이야기했다”며 “네덜란드 지역에서 이루어진 혈청 역학적 연구를 보면 유행이 많이 발생한 지역에도 항체가 생성된 비율이 2~3%밖에 되지 않았다. 다른 지역의 경우도 겨우 10%를 조금 넘는 정도였다”고 말했다.

그는 “방역당국자로서 상당히 놀라웠던 것은 유행이 왕성하게 발생했던 지역에서도 항체 양성률이 거의 한 자리 숫자, 잘해야 10%대 초반이라는 점”이라고 했다. 이어 “우리나라도 조속한 시일 내에 표본을 정해 항체가 얼마나 형성됐는지, 항체가 방어력이 있는지, 항체가 얼마나 지속되는지 조사할 것이고 국내외적으로 관심을 갖고 있는 부분”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역학자들은 인구의 60% 이상이 코로나19에 감염되면 ‘집단면역’이 형성되리라는 예상치를 제시했다. 집단면역이란 한 집단 구성원의 일정 비율 이상이 감염되면 집단 전체가 감염병에 저항력을 갖게 되는 단계에 도달한다는 면역학 개념이다.

그러나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20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세계 각지에서 시행된 항체 검사를 종합할 때 항체를 가진 비율은 3% 이내라고 전했다. 집단면역을 기대할 수준에 전혀 이르지 못한다는 뜻이다.

네덜란드에서 7000명을 상대로 실시한 혈청 항체검사에서는 3%만 항체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독일과 프랑스 등에서도 항체 양성률은 대체로 한 자릿수, 최대 14% 정도였다.

거브러여수스 총장은 “(코로나19) 관련 제한 해제는 전염병 확산 종료를 의미하지 않는다”며 “봉쇄만이 코로나19 확산을 막는 데 도움이 된다”고 주장했다.

권 부본부장은 이런 경고에 대해 “몇몇 국가를 중심으로 봉쇄에 가까운 조치들이 조금씩 완화되는 부분에 대해 철저한 방역대책이 같이 가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유럽은 유행이 상당히 큰 규모였는데도 항체 양성률이 매우 낮다는 것은 결국은 방심할 수 없다는 결론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을 것 같다”며 “우리나라도 향후 조사에서 어느 정도의 (항체) 수치가 나올지는 짐작하기 어렵고, 항체가 있다 해도 방어력이나 지속 기간은 또 다른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결국 최종적인 해결책, 즉 치료제 또는 백신이 개발·보급되어서 투약이나 접종이 가능하고 완벽하게 지역사회에서 방어할 수 있다고 판단이 될 때까지는 방역대책을 오래 지속하는 것이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