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진 환자 발생 이후 경기도내 신용카드 오프라인 매출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함에 따라 매출액이 큰 폭으로 감소했으며 피해가 가장 큰 업종은 요식 및 유흥업이었다.
다만 음·식료품업 매출액은 증가 추세를 보였다. 이는 외식 감소에 따른 대체 수요 증가 때문으로 추정된다.
경기연구원은 1월 20일부터 3월 22일까지 9주 간의 신한카드 자료를 토대로 코로나19 발병 이후 경기도 경제 흐름과 향후 대응방향을 담은 ‘코로나19 경제위기, 끝은 보이고 있는가?’를 발간했다고 21일 밝혔다.
경기연구원에 따르면 이 기간 동안 경기도내 신용카드 오프라인 매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11.1%(1조8821억원) 감소했다.
감소가 가장 큰 품목은 요식 및 유흥업으로 전체 순감소액의 32.0%나 차지해 매출액이 무려 6024억원이나 감소했다.
소득탄력성이 높거나 소비의 시급성이 낮은 품목인 의류·잡화(-27.7%), 미용(-23.7%), 가전・가구(-16.2%) 등의 매출액 감소율도 높았다.
또 다중이용시설 기피현상으로 추정되는 백화점과 대형 기타(아울렛 등), 대형마트의 매출액이 각각 30.5%, 28.5%, 18.7% 감소했다.
숙박업과 여행업 부문의 매출액도 각각 27.2%, 19.6% 감소했다. 예외는 있어 택시 매출액은 대중교통 기피 현상으로 12.4%나 증가했다.
이밖에도 교육·학원(-18.4%), 스포츠·문화·레저(-17.2%) 등도 감소폭이 컸다.
반면, 음·식료품업 매출액은 오히려 3.8% 증가했는데, 이는 외식 감소에 따른 대체 수요 증가로 추정된다.
김태영 연구위원은 “코로나19의 경제적 여파는 수요-공급 부문에 동시다발적으로 작용하고, 코로나19 확산이 종식되어도 경제적 어려움은 지속될 전망”이라면서, 경기침체에 대한 단기적, 중장기적 대응방안을 제안했다.
단기적으로는 수요·공급부문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피해를 빠르게 회복하기 위해서 소상공인 및 자영업자와 실업자 등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정책을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장기적으로는 코로나19로 인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감염병으로 인한 산업생태계 변화 영향 검토, 플랫폼 노동자에 대한 제도적·사회적 안전망 구축, 생산설비 분산 등 글로벌 가치사슬 재편에 대한 대비 등 경제적 여파에 대한 대비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