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코로나 19’ 직격탄 맞은 극장가 지원 방안 발표

입력 2020-04-21 09:52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직격탄을 맞은 극장가를 지원하기 위한 대책을 내놓았다. 정부는 코로나19 탓에 제작이 연기되거나 개봉이 미뤄진 영화와 영화인을 지원하기 위해 170억원을 투입한다. 영화관에 부과하던 영화발전기금도 감면하기로 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21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영화산업 피해 긴급지원 대책’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정부가 지난 1일 제3차 위기관리대책회의에서 발표한 지원 대책을 구체화한 것이다. 문체부가 내놓은 대책에 따르면 우선 정부는 영화관에 물리던 영화발전기금 부과금을 올해에 한해 90% 감면하기로 결정했다. 영화관들은 그동안 입장권 가격의 3%를 영화발전기금 부과금으로 영화진흥위원회에 납부해야 했지만, 시행령을 개정해 올해 2~12월 사이 발생한 부과금에 대해선 납부액을 입장권 가격의 0.3% 수준으로 낮출 계획이다. 0.3% 부과금 납부도 연말까지 유예하기로 했다.

코로나19로 제작이나 개봉이 연기된 한국영화 지원방안도 포함됐다. 정부는 작품당 최대 1억원씩 총 42억원을 지원한다. 일시적으로 일자리를 잃은 영화인들을 위해 총 700여명으로 대상으로 직업훈련을 하고, 훈련비를 지급하는 데 8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되면 영화시장 활성화를 위해 시민들을 상대로 130만장의 영화 관람 할인권도 제공한다. 지원 사업에 드는 예산은 170억원으로 추산된다. 정부는 이 예산을 영화발전기금 용도를 변경해 마련하기로 했다. 세부적인 지원 기준은 다음 달 초까지 영진위를 통해 공고한다.

정부가 이 같은 지원 대책을 내놓은 이유는 코로나19로 영화계가 입은 피해가 막대해서다. 영화진흥위원회가 최근 발표한 3월 한국영화산업 결산에 따르면 지난달 전체 관객 수는 183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1284만명(87.5%)이나 감소했다. 관객 수 집계를 시작한 2004년 이후 최저 월별 관객 수였다. 문체부 관계자는 “이번 대책이 영화관과 수입·배급사, 제작사 등 영화업계와 종사자 모두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박지훈 기자 lucidfal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