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 트럼프’ 남부 3개주, 경제활동 재개 강행…둘로 갈라지는 미국

입력 2020-04-21 08:36 수정 2020-04-21 08:45
미국 분열로 코로나19 대응 약화 우려
사우스캐롤라이나주, 백화점 등 영업 전격 재개
조지아주, 24일부터 미용실 등 영업 허용
테네시주, 5월 1일부터 대부분 사업 재개
남부 세 개주의 주지사는 모두 공화당
뉴욕주·뉴저지주 “사회적 거리두기 지속돼야”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헨리 맥마스터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지사가 2018년 6월 25일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웨스트컬럼비아에서 진행됐던 유세에서 상대방을 안은 채 팔을 들고 있다. AP뉴시스

미국이 경제활동 정상화 재개를 놓고 둘로 갈라지고 있다. 각 주들이 제각각 행동하면서 미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대처가 약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미국 주들이 분열되는 데에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영향이 크다. ‘친(親) 트럼프’ 성향의 주들은 경제활동 재개에 팔을 걷어붙이고 나서는 모양새다. 반면, ‘반(反) 트럼프’ 성향의 민주당 주지사가 있는 주들은 ‘사회적 거리두기’를 강조하면서 코로나19 억제에 더욱 주력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정치적 텃밭이면서 공화당 소속 주지사들이 있는 사우스캐롤라이나주·조지아주·테네시주 등 미국 남부 3개주는 경제활동 정상화를 전격 선언했거나 서두르고 있다.

특히 헨리 맥마스터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지사는 20일 “소매점·백화점·스포츠 용품점·벼룩시장 등은 오늘 오후 5시부터 문을 열 수 있다”고 말했다. 영업 재개를 전격적으로 발표한 것이다. 그러면서 맥마스터 주지사는 “최대한 안전하면서도 빠르게 속도를 낼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수용 가능 범위의 20%만 손님을 받거나 1000제곱피트(약 28평) 당 5명 이하만 수용할 수 있다”는 조건을 내걸었다. 또 “6피트(1.8미터) 사회적 거리두기 간격을 유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맥마스터 주지사는 또 사우스캐롤라이나주의 해변들도 22일 정오를 기해 재개장될 것이라고 밝혔다.
브라이언 켐프(왼쪽) 조지아 주지사가 지난 3월 6일 조지아주 도빈스 공군기지에 도착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얘기를 나누고 있다. AP뉴시스

역시 공화당 소속의 브라이언 켐프 조지아 주지사도 20일 “이르면 이번 주 중 소규모 사업들에 대한 영업 재개를 허용할 것”이라며 “이는 전진을 위한 작은 발걸음”이라고 말했다.

켐프 주지사는 “피트니스 센터, 볼링장, 미용실·이발소·네일 샵·마사지 샵 등 미용시설은 24일 문을 다시 열 수 있다”면서 “극장과 식당들은 27일 영업이 재개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켐프 주지사는 “술집(바)과 나이트클럽 등은 현재로선 영업 정지가 계속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빌 리 테네시 주지사는 “테네시주에 발효된 외출금지령이 30일 만료될 것”이라며 “5월 1일부터 테네시주 대부분의 사업들이 재개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리 주지사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계속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CNN방송은 백악관이 인용하는 코로나19 피해예측 모델에 따르면 조지아주는 6월 15일까지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완화해서는 안 된다고 비판했다.

미국에서 코로나19 피해가 두 번째로 큰 뉴저지주의 필 머피 주지사는 “이른 경제재개를 요구하는 시위대들의 권리도 존중하지만 절대로 동의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머피 주지사는 “우리는 주민들이 집에 머물기를 원한다”면서 “사실과 자료, 과학에 근거해 뉴저지주가 가는 방향은 틀림이 없으며 분명하다”고 강조했다.

코로나19피해가 가장 큰 뉴욕주는 사망자 수가 줄어드는 추세다. 그러나 앤드루 쿠오모 뉴욕 주지사는 “사람들이 집 밖으로 나오기 시작하면 감염률은 다시 올라갈 것”이라고 우려했다.

쿠오모 주지사는 그러면서 코로나19 억지를 위한 정책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앞으로 몇 주에 걸쳐 주민 수천명을 상대로 미국에서 가장 공세적인 항체 검사를 시행하겠다”고 말했다.

또 의료진과 경찰관을 비롯한 코로나19 대응 최일선 인력에 대한 ‘위험수당’ 지급을 위한 연방 정부의 지원을 촉구했다.

머피 뉴저지 주지사와 쿠오모 뉴욕 주지사는 모두 민주당 소속이다.

마이크 드와인 오하이오주 주지사도 “안전이 전제돼야 경제활동을 재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드와인 주지사는 공화당 소속이지만 ‘사회적 거리두기’ 고수 입장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워싱턴=하윤해 특파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