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임자산운용에 대한 금융감독원 검사 정보를 유출한 혐의 등으로 김모(46) 전 청와대 행정관이 구속되면서 금감원 내부에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김 전 행정관은 과거에도 금감원 내 대학 후배들을 모아 업계와 어울려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사실상 ‘부적격 인사’였던 김 전 행정관이 청와대 파견을 어떤 경로로 가게 됐는지 규명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20일 금감원 직원들이 이용하는 익명 게시판 앱 블라인드에는 김 전 행정관에 대한 성토 글이 쏟아졌다. 묵묵히 일해 온 직원들의 노력이 김 전 행정관으로 인해 하루아침에 물거품이 됐다는 자조 섞인 목소리가 나왔다. 직원 A씨는 “뒤에서 더러운 짓 다 해놓고 회사에서는 목에 힘 주고 다녔냐”며 “OB(퇴직자)들이 원하는 게 뭔지 뻔히 알면서 만나서 술 마시고 다니는 사람들도 다 똑같다”고 지적했다.
김 전 행정관은 S자산운용의 과태료 부과 건과 관련해서도 실무자에게 “과태료를 깎을 수 없냐”는 문의를 한 정황이 포착된 상태다. 라임자산운용 뿐만 아니라 업계 전반에 유착관계가 있었던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또 다른 금감원 직원은 “S대(서울대) 후배들 데리고 다니면서 업체한테 밥이나 얻어먹고 다니고, 알 만한 사람들은 다 알고 있었다”며 “인간적인 부분에서 평판도 안 좋았다”고 지적했다.
실제 김 전 행정관은 수원여객 횡령 사건에 관여한 증권사 출신 김모 전 재무이사와 서울대 경제학과 선후배 사이다. 김 전 이사는 주변에 김 전 행정관과의 친분 관계를 언급해왔다고 한다. 김 전 이사는 김봉현(46) 전 스타모빌리티 회장과 수원여객 횡령을 공모한 혐의를 받는다.
청와대 파견을 가게 된 경위를 확인하고 담당 부서에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한 금감원 직원은 “파견 보낼 때 인사 담당 라인 잘못도 있다”며 “BH(청와대)가 잘못 선택한 것이라고 은근슬쩍 책임을 회피하지 말자”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또 다른 직원은 “파견 직원은 청와대에서 대상자를 찍고 인사 담당 라인은 대상자 외 2~3명을 들러리로 추가하는 실태를 모르느냐”고 반박했다.
금감원 내부는 김 전 행정관이 라임과 관련된 사전조사서까지 유출한 것으로 알려지자 충격에 휩싸인 분위기다. 검찰은 금감원 압수수색을 통해 이런 자료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 당국의 한 관계자는 “차라리 청와대 파견 근무를 없애야 할 것 같다”며 “앞으로 청와대 파견자가 자료를 요구하면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