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포항시는 20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사회·경제구조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포스트 코로나’ 대응전략을 발표했다.
포항시는 민생안정과 사회통합을 목표로 튼튼한 방역 기초 위에 민생·경제활력에 총력을 기울이고, 새로운 기준에 대응하기 위한 과제를 발굴하기로 했다.
우선 보건·의료와 경제·산업, 시민생활, 도시·환경 등 4개 분야에 대한 주요 전략과제를 설정하고 집중 추진한다.
또 시민사회 각계각층이 참여하는 회의체인 ‘포스트 코로나 범시민대책회의’(가칭)를 구성하고 코로나19 이후 전반적인 시정운영 방향에 대한 시민 공감대를 형성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대형 지역현안사업의 차질 없는 추진과 지진피해의 실질적인 피해구제에 만전을 기하기로 했다.
코로나19 이후 감염병 걱정 없는 시민안심 의료 환경 정착을 위해 방역체계도 강화한다.
보건·의료분야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감염병 대응본부’를 상시 운영하고 민·관 합동 보건의료시스템 구축으로 보건소와 병원 간의 체계적인 역할 분담 및 공조를 강화한다.
감염병 검체의 조기 확인을 위한 인증기관 도입도 추진하기로 했다.
관내 10개 병·의원을 중심으로 시민안심 거점 의료기관을 확충하고, 격리병상 확충과 의료기관별 자기주도 생활방역 정착을 통해 안전한 병원 환경 개선운동을 전개해 나가기로 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튼튼한 방역이 경제 살리기의 기본인 만큼 철저하고 선제적인 방역활동을 펼치고 있다”면서 “코로나19 이후 모든 시민이 안심하고 정상적인 경제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포항=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