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사는 북한이탈주민, 경제 참가율·실업률 등 개선

입력 2020-04-20 14:13

부산지역 북한이탈주민의 상용직 비율이 9년 새 2배 가까이 상승하고 실업률은 감소하는 등 노동환경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시는 20일 북한이탈주민의 지역정착, 경제활동, 건강, 교육 등 생활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실태조사는 시와 부산하나센터가 지난해 10월부터 12월까지 부산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 955명 중 464명을 방문 조사했다. 부산지역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생활실태조사는 지난 2010년 이후 9년 만이다.

북한이탈주민조사 결과 경제활동 참가율은 2010년 40.3%에서 2019년 52.04%로 12.1% 증가했다. 근로 형태는 상용직 비율이 64.5%로 가장 많았고 일용직 13.3%, 임시직 12.5%, 자영업 8.9% 순으로 조사됐다. 2010년과 비교하면 상용직(39.7%)은 크게 증가했고 일용직(19.7%)과 임시직(33.9%)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실업률은 2010년 59.7%에서 2019년 47.6%로 떨어졌으며, 기초생활 수급자 비율은 2010년 67.2%에서 34.3%로 큰 폭으로 감소했다. 근로소득액은 월평균 개인 148만원, 가구 213만원으로, 국민 개인 평균 285만 원에 비하면 낮은 수준으로 조사됐다.

주거 분야 생활만족도는 4.26점(5점 만점)으로 2010년 3.38점 대비 대폭 상승했다. 다만, 생활 애로사항으로는 경제적 어려움 49.4%, 차별·무시 경험 21.8%, 신체·정신 건강 문제 59.5%(복수 응답)로 나타났다. 생활 만족도는 높아졌으나 경제, 건강 등 생활 전반의 애로는 여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정책 지원요구 분야에서는 취·창업을 통한 경제적 자립 지원(34.3%), 생활 정보 제공(20.8%), 건강·의료지원(14.8%) 등에 대한 바람이 컸다.

시 관계자는 “2010년 실태조사와 비교하면 정착 만족도 및 실업률, 기초생활 수급률, 근로 형태 등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며 “앞으로 취업역량 강화, 창업, 의료, 고령자와 독거민 등 취약계층 지원 등 장·단기적 시책에 반영해 지원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