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미국과 일본, 그리고 한국전쟁 참전국에 보건용 마스크를 보내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복수의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정세균 국무총리는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관련 회의에서 “보건용 마스크를 수출·지원하면 국격을 올리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대상국으로 미국과 일본을 구체적으로 거론했다고 20일 한국일보가 보도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외교부 등이 필요한 조치를 논의 중이라고 한다.
보도에 따르면 정부는 미국과 일본에 대한 지원은 ‘인도적 차원’이라는 명분을 세웠다. 이에 초기 물량은 판매가 아닌 무상 지원 형식으로 전달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한편으로 외교적 ‘선물’의 의미도 띤다. 한미 관계는 북한 비핵화와 한미 방위비분담금협상 교착 등 문제를 안고 있고, 일본과는 대법원의 강제징용 판결 이후 수출규제 공방 등 최악의 관계를 이어오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정부는 국내 여론이 모아져야 마스크 해외 지원을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국내 마스크 수급 상황이 안정된 지도 얼마 되지 않았는데 마스크를 해외로 대량 반출한다면 반대 여론이 만만치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일본에 대한 지원 결정에 있어 여론을 신중하게 살피고 있다.
그러나 ‘일본 불매’ 정서가 여전히 남아있는 상황이라 여론은 벌써부터 부정적이다. 이 같은 소식이 알려진 뒤 포털사이트에는 “마스크에 독도 표기해서 줄 거 아니면 안 된다” “동일본 대지진 때 전 국민이 모금해서 줬는데도 배은망덕했던 것 기억 안 나나” “한국에서도 아직 마스크 5부제가 시행 중인데 해외 지원이 웬 말이냐” 등 의견이 빗발치고 있다.
미국과 일본뿐 아니라 한국전쟁 참전국에 대해 ‘보은 차원’의 마스크 지원도 논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대상 국가는 미국 프랑스 영국 캐나다 콜롬비아 필리핀 태국 에티오피아 등 16개국이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