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고용노동부에 ‘대량실업 방지를 위한 10대 고용정책 과제’를 건의했다고 20일 밝혔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국내 신규 실업자가 최대 33만3000명 발생할 것으로 전망됐다.
한경연 의뢰를 받은 부산대 경제학과 김현석 교수는 '코로나19의 고용시장 피해 추정'에서 코로나19로 인한 신규 실업자를 18만2000명∼33만3000명으로 예상했다. 2001∼2019년 국내 경제성장률과 실업률 간의 관계를 토대로 현재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대입했다.
14개 기관 평균 성장률 전망치(-1.35%)를 기준으로 하면 신규 실업자는 5만∼6만7000명에 그쳤으나 세계은행(-4.89%)과 노무라증권(-6.7%)의 경제성장률 전망을 바탕으로 계산하면 예상 실업자 수가 크게 는다.
올해 3월 기준 총 실업자는 118만명이다. 신규 실업자는 1980년 석유파동 때 20만8000명, 2009년 금융위기 때 11만8000명이었다.
이에 한경연은 무급휴직자도 3개월 간 구직급여를 지원해야 한다고 고용노동부에 건의했다. 중소기업이 직원급여 대출을 신청하면 정부 보증으로 연 1%대 저금리를 적용해야 한다고도 했다. 특별고용지원업종에 여행업, 관광숙박업, 관광운송업, 공연업 외에 면세점업, 행사대행업, 구내식당업(학교급식), 인력파견업 등을 추가 지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