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권 대학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실시한 온라인 강의를 1학기 내내 진행하기로 잠정 결론을 내렸다. 대학들은 다음 달 중간고사 시점까지도 코로나19 상황을 예측할 수 없어 대면수업으로의 전환이 어렵다고 판단하고 있다.
19일 대구권 대학들에 따르면 최근 경북대와 계명대, 경일대, 대구가톨릭대, 대구대, 대구한의대, 영남대 등 7개 대학 교무처장이 만나 학사일정과 관련해 회의를 열었다. 모인 대학은 대구지역과 대구 인근 경북지역에 위치한 대학들이다.
이 자리에서 각 대학 교무처장들은 비대면 수업을 1학기 전체로 연장하는 것이 불가피하다는데 인식을 같이 했다. 이후 대학별로 내부 공론화 절차를 거쳐 최종 결정을 한 뒤 오는 22일쯤 함께 결론을 공지하기로 뜻을 모았다. 학사운영은 각 대학 자율로 결정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코로나19라는 특수 상황에서 의견을 모아 공동으로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회의가 열렸다.
회의에 참석한 교무처장들은 이번 학기말까지 비대면 온라인 원격수업 진행이라는 큰 틀 아래 온라인 수업이 어려운 실기·실습·실험·대학원 수업 등은 각 대학이 대책 마련, 대면수업 위한 학생·학부모 사전 동의, 대면 수업도 상황에 따라 온라인 전환 가능 등의 기본적인 안을 공유했다.
앞서 수도권 일부 대학과 일부 과학기술특성화대학이 1학기 전면 비대면 수업을 결정한 바는 있지만 지역 대학들이 함께 1학기 비대면 수업 확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대구권 대학들이 처음이다. 지역 주요 대학의 방침이 정해지면 지역의 다른 대학들도 비슷한 결정을 내릴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대학들의 온라인 강의 기간이 길어질 경우 일부에서 제기되고 있는 강의 질 논란이 확대되고 이에 따른 일부 학생들의 등록금 반환 요구 목소리도 더 커질 우려가 있다.
대구권 한 대학 관계자는 “대학 자체 논의와 최종 결정이 있어야 하지만 교무처장 회의에서 나온 안대로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한다”며 “코로나19 사태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대학만 먼저 대면수업으로 전환하는 것은 사실상 어렵다”고 말했다.
한편 대구시는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에 대비해 조만간 정부의 방역지침 이외에도 시민들이 적극 참여하는 새 방역시스템인 ‘대구형 사회적 거리두기 범시민 운동’을 전개한다. 이와 함께 재유행을 대비해 방역관과 역학조사관을 추가 확충하고 전담병원 병상 2000개, 생활치료시설 3000실 이상을 준비해놓을 방침이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