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구는 서울 25개 자치구 중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수가 가장 많다. 미국 뉴욕처럼 인구밀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경제활동인구, 유동인구가 많은 탓이지만 강남구가 가장 많은 검체검사를 실시하는 등 과감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한 결과이기도 하다.
서울 강남구는 대구·경북지역을 제외한 전국 기초자치단체 중 처음으로 코로나19 검체검사 1만 건을 돌파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는 서울시 전체 검사건수(10만643건)의 10%로 광역지자체인 세종(5807건), 제주(9098건), 울산(9499건), 전북(9390건)보다 많은 수치다.
강남구가 검사건수 1만 건을 돌파한 것은 ‘조기진단, 확산방지’라는 감염병 대응원칙에 따라 확진자 동선 확인 후 같은 동 아파트입주자와 인근 주민, 직장 동료 등을 증상유무에 관계없이 전원 검사하고 해외입국자를 자가격리 전후로 이중 검사한데 따른 것이다. 특히 요양원, 데이케어센터 등 어르신 취약시설 어르신과 종사자에 대해 매주 주기적으로 샘플링 테스트를 진행하고, 다른 지자체와 달리 관내 7만개 기업체 상시 근무자와 타 지역주민 중 희망자들에 대해서는 모두 선제적으로 검사를 실시했다.
강남구는 지난 1월 28일부터 보건소 선별진료소를 운영한 이후 서울시 자치구 중 유일하게 24시간 운영하고 있다.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확산되기 전인 2월말부터 하루 평균 200여건의 검체검사를 실시, 구민 62명과 타지역 거주자 6명 등 총 68명의 확진자를 조기에 발견해 감염확산을 사전에 차단했다.
강남구는 의료진 11명을 투입하고 음압진료실을 갖춘 단독건물 외 음압텐트 3개를 추가 설치해 해외입국자 3100명, 확진자와 접촉가능성이 있는 5000명, 요양시설 이용자 400명, 자가 격리해제자 1300명 등 1만268명을 검사했다. 또 해외입국자를 사전에 파악해 인천공항에서 리무진버스로 보건소로 데려온 뒤 검체검사 후 구급차로 개인별 귀가시키는 등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동선을 최소화하고 있다. 아울러 유럽, 미국 등 해외 입국 자가격리 해제자 전원에 대해 해제 후 3일 내에 재검사를 실시하는 등 자가격리자 관리에 주력하고 있다.
강남구는 앞으로 감염병 발병 시 유관기관과 협력을 통해 감염병 정보를 통합관리하고 지역감염 조기 차단 등 선제적 대응을 위해 선별진료소를 확대 개편한 감염병관리센터 설립을 검토 중이다. 정순균 강남구청장은 “코로나19 지역 확산 방지를 위해 지난 1월 26일부터 85일째 비상근무체제로 126억원의 재난관리기금을 활용한 방역활동 등 선제적 대응에 매진하고 있다”며 “자가격리자가 타지역에 비해 2~3배 많아 철저한 관리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