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녹색연합, 쇳가루마을 근처 아파트 4000가구 제동

입력 2020-04-19 11:15
인천시가 서구 검단5구역도시개발사업 관련 행정절차를 일사천리로 진행하고 있는 것에 대해 환경단체가 급제동을 걸고 나섰다.

19일 인천녹색연합에 따르면 검단5구역 도시개발사업예정지는 일명 쇳가루마을로 환경부가 주거부적합 판정을 내린 사월마을에서 1㎞ 남짓 떨어진 곳으로 인근에 수도권쓰레기매립지, 검단일반사업단지, 건설폐기물중간처리사업장 등 환경오염유발시설이 입지해 환경개선사업이 시급한 실정이다.

검단5구역도시개발사업은 서구 오류동 일원 약 42만㎡에 아파트 등 4000여가구의 주택을 건설하는 사업이다.

시는 지난 3월 전략환경영향평가협의회 서면심의가 있은 후 한 달도 채 지나지 않은 지난 17일 ‘검단5구역 도시개발사업 전략환경영향평가 평가항목 등의 결정내용 공개’를 공고했다.

이에 대해 인천녹색연합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로 시민들은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천하며 사회, 경제 모든 분야를 차분하게 점검하고 있는데 아파트건설사업 행정절차는 서면심사까지 일사천리로 진행됐다”며 “아파트 건설에 앞서 환경개선이 더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앞서 인천시는 지난해 1월 서구지역의 열악한 환경문제 현안사항 개선을 위해 ‘클린서구 환경시민위원회’를 구성한 뒤 수도권매립지 주변의 다량의 적재물 환경피해 해소, 서구 내 환경유해시설에서 발생하는 악취 억제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인천녹색연합은 검단5구역도시개발사업부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환경현안과제이 산적한 상황에서 수도권쓰레기매립지와 산업단지, 건설폐기물중간처리업체 등에서 각종 악취와 소음, 분진 등 환경민원이 끊이질 않고 있어 사월마을 주변 아파트 추진은 시기상조라는 입장을 밝혔다.

또 인근 검단천의 경우 복개구간을 통과한 생활하수가 하천으로 그대로 흘러들어 악취가 진동하는 등 하천이 아니라 하수도로 전락했다고 지적했다.

인천녹색연합 관계자는 “주변지역 환경개선 없는 도시개발사업은 사회적 갈등만을 야기할 뿐”이라면서 “‘살고 싶은 도시, 함께 만드는 인천’을 만들기 위해서는 아파트건설 속도전이 아닌 꼼꼼한 도시계획과 소통하는 행정절차가 우선”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제라도 환경오염도시, 회색도시의 오명에 벗어나 품격있는 생태환경도시 인천을 만들기 위한 도시계획을 수립하고 행정절차를 진행하기를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