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감염자를 수용할 수 있는 병상 수를 실제보다 많이 부풀려 공표했다는 일본 현지 언론의 보도가 나왔다.
17일 도쿄신문에 따르면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는 지난 6일 코로나19 대책 본부 회의에서 “현재 있는 코로나19 대응 병상 2만8000개를 5만개까지 늘리겠다”고 밝혔다. 아베 총리는 지난 3일 참의원 본회의에 참석해서도 코로나19 대응 병상을 2만5000개 이상 확보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일본 정부는 코로나19 감염자 확산과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인 도도부현(都道府県)과 협력해 병상 확보를 추진하고 있다. 음압 장치 등 특수한 설비를 가진 감염증 지정 의료기관의 감염증 병상은 지난해 4월 1일 기준 전국에 8171개였다. 후생노동성은 각 도도부현에게 지정 기관 이외의 일반 병상에서도 코로나19 환자를 대응할 수 있는지에 대해 조사하도록 요청했다. 각 도도부현은 병상 수를 후생노동성에 보고했다.
후생노동성 담당자는 아베 총리가 발표한 병상 수의 근거에 대해 “지정 의료기관에 있는 일반 병상도 포함한 빈 병상 수를 도도부현에게 보고해 달라고 한 후 합산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본 지자체들은 각각 얼마나 병상을 확보하고 있는지 잇따라 공표를 하고 있다. 하지만 지난 6일 아베 총리의 발표 후 공표된 지자체의 병상 수를 모두 합해도 1만1000개에 불과했다.
그러나 도도부현 담당자는 정부에게 보고한 빈 병상 수가 그대로 ‘코로나19 대응 병상’으로 합산될지 몰랐다고 주장했다.
아오모리(青森)현 담당자는 “보고한 빈 병상 숫자는 코로나19 대응 병상 조사와는 다르다”고 말했다. 가가와(香川)현 측도 “병상이 비어 있다고 모두 코로나19에 사용할 수 없다”며 “감염 방호 조치 등 수용하는 측(병원)이 대응도 해야 하며, 개별 지자체가 병원과 함께 확약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미야기(宮崎)현 담당자 역시 “실제로 코로나19에 사용하는 병실은 설비를 통째로 바꾸거나 대응 인력 확보·양성도 필요하다”며 “정부에 단순히 비어있는 병상 수를 대답했다. 국가의 지시에 따라 갑자기 일반 병실을 코로나19용으로 전환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꼬집었다.
한명오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