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정당 꼼수’ 유지될 듯… 교섭단체·공수처 협상서 ‘이득’

입력 2020-04-17 17:05 수정 2020-04-17 18:13
(서울=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 미래한국당 원유철 대표가 1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선거대책위원회 해단식에 입장하고 있다.

'위성정당 꼼수' 2라운드가 곧 시작된다. 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 각각 더불어시민당과 미래한국당의 합당을 미루고 있다. 위성정당을 합당하지 않은 채 20석 교섭단체를 만들면 원내협상서 이점이 많기 때문이다. 민주당 입장에선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구성에 필요한 야당 몫을 가져올 수 있다. 통합당은 교섭단체가 2개 생겨 원내 협상시 한 개의 표를 더 행사할 수 있게 된다.

원유철 미래한국당 대표는 17일 한국당 중앙선대위 해단식을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당을 합하는 시기는 정무적으로 판단하겠다"고 밝혔다. 한국당은 이번 총선에서 비례대표 의원 19명을 배출했다. 1석을 더하면 원내 교섭단체(20석) 지위를 얻을 수 있다. 통합당 탈당 후 무소속으로 출마해 당선된 인사 한 명만 한국당에 합류하면 교섭단체가 되는 셈이다.

원 대표는 "교섭단체 구성을 포함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며 “정부 여당을 효과적으로 견제할 수 있는 게 무엇인지 제1야당의 형제 정당으로서 고민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도 더불어시민당이 확보한 17석에 현역의원 3명을 이적해 교섭단체를 만드는 안을 검토 중이다. 윤호중 민주당 사무총장은 "통합당이 미래한국당과 어떤 방식으로 운영해 나갈지를 보면서 결정해야 할 사안"이라며 "미래한국당이 제3교섭단체로 분신술을 친다면 상식을 벗어난 일이고 여러 고민이 있을 수 있다"고 이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하사헌 기자 = 더불어민주당 윤호중 사무총장이 지난달 22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만일 민주당과 통합당 모두 교섭단체를 구성한다면 21대 국회는 민주당과 통합당 시민당 한국당 등 4개 교섭단체가 존재하게 된다. 선거에선 '한 몸'이라 주장해놓고 향후 국회 원 구성 협상, 7월 출범 예정인 공수처장 국회 추천 등에서는 서로 다른 당인 양 행동할 가능성이 크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