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리해제 후 다시 양성 판정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양성’ 사례가 163건으로 집계됐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17일 현재 전국에서 163명이 격리해제 후 재양성 판정을 받았다고 전했다. 이는 격리해제자 7829명 중 2.1%를 차지한다.
연령별로는 20대 38명(23.3%), 50대 32명(19.6%), 30대 24명(14.7%)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대구 67명(41.1%), 경북 54명(33.1%), 경기 13명(8.0%) 순이었다.
코로나19에서 완치돼 격리해제 되고, 이후에 다시 양성 판정을 받기까지는 평균 13.5일이 걸렸다. 최소 1일부터 최대 35일까지 소요됐다.
방대본이 재양성자 중 임상 및 역학 정보가 보고된 13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61명(43.9%)이 경미한 증상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재양성자들이 접촉한 294명 중 현재까지 2차 감염은 보고되지 않았다.
방대본은 바이러스의 감염력 분석을 위해 28건의 재양성 검체를 수집해 바이러스 배양 검사를 하고 있다. 초기 검체 6건은 검사 결과 바이러스가 배양되지 않았고 22건은 현재 배양 검사가 진행 중이다.
정은경 방대본 본부장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재양성자의 접촉자 추적관리, 바이러스 배양검사 등 조사 결과에 따라 재양성자 관리방안을 보완해 나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방대본은 재양성 사례가 늘어나자 이들에 대한 관리를 위해 지난 14일 ‘재양성 사례 대응방안’을 각 지자체에 배포했다. 이에 따라 지자체는 확진자 격리해제 시 2주간 자가격리를 권고하고 증상발생을 모니터링해야 한다. 재양성자 발생 시 접촉자 조사, 입원, 격리해제 등 조치는 기본적으로 확진자와 동일하게 시행한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