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환자를 검사하는 방법으로 차량 탑승(드라이브 스루) 방식의 선별진료소를 공식 도입하기로 했다.
니혼게이자이(닛케이) 신문에 따르면 17일 일본 코로나19 대응 주무부처인 후생노동성은 한국 드라이브 스루 방식의 검사를 할 수 있도록 추인하는 ‘사무 연락’ 문서를 전국의 지자체에 보냈다. 후생노동성은 문서를 통해 의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경우 차량에 탑승한 채로 진료할 수 있고, PCR(유전자증폭) 검사를 위한 검체 채취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인천의료원 김진용 교수가 고안한 드라이브 스루 검사는 대량의 검사를 빠른 시간 안에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의료기관 건물 안에서 검체를 채취할 때보다 감염 위험이 낮아 세계 각국이 급속도로 채택했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이 방식이 야외에서 진행돼 검사 과정에서 검체가 오염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하며 채택을 미뤄왔다. 도입한 나라 중에서 감염 확산이 억제되지 않은 사례가 있다는 점까지 들며 공식 도입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하지만 확산세가 걷잡을 수 없자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는 16일 전역에 긴급사태를 선언한 뒤 결국 드라이브 스루 검사소 도입을 결정하게 됐다. 그는 앞서 지난 7일에는 도쿄도(都) 등 7개 도부현(都府縣·광역자치단체)에 긴급사태를 선포한 뒤 검사 능력을 확충하기 위해 드라이브 스루 검사를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하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닛케이는 한국의 드라이브 스루 검사소가 미국, 유럽 등 해외 전역에서 확산하자 후생노동성이 이를 공식 검사 방식으로 인정하기는 했지만 너무 늦은데다 지자체에 모든 책임을 떠넘기는 식이라고 비판했다.
후쿠오카(福岡)현 담당자는 “아직 후생노동성에서 온 문서를 다 읽지 못했다”며 “자세한 사항은 향후 검토할 예정이지만 아무것도 결정된 바 없다”고 설명했다. 효고(兵庫)현의 한 관계자는 “구조적인 정리가 되어있지 않다”고 토로했으며, 사이타마(埼玉)현 담당자는 “자동차 정체나 사고가 발생했을 때 혼란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매체는 “검사를 제때 확대하지 못해 시민들이 감염됐다는 자각을 하지 못한 채 외출을 했으며 감염을 확산시켰다”고 꼬집었다. 일본의 코로나 19 확진자 수는 16일 1만명을 넘어서면서 긴급사태가 1차로 선포된 지난 7일 이후 9일 만에 2배로 급증했다.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의 선임고문인 시부야 켄지(澁谷健司) 런던 킹스칼리지 교수는 “도쿄에서 검사대상을 넓혀 감염자를 격리하는 대책을 하루빨리 추진했어야 했다”며 “드라이브 스루 검사를 채택한 시기가 너무 늦었다”고 말했다.
닛케이는 중앙 정부의 코로나19 대응체계 전환이 지자체를 뒤쫓는 모양새가 된 것과 사무 연락 형식의 문서가 지자체에 부탁하는 선에 그치는 점을 들어 “검사 체제 확충의 리더십이 여전히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어 아베 총리가 PCR 검사 능력을 1일 2만건으로 하겠다는 방침을 내걸었으나 현재 능력은 약 1만3000건에 멈춰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후생노동성이 감염경로 추적에만 치중해온 정책의 한계를 인정하고 적극적 검사로 검사망을 넓혀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명오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