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코로나발(發) 고용 쇼크’와 관련해 고용 유지·실업 대책 등 긴급 대응 방안을 내놓겠다고 밝혔다. 특히 임시·일용직과 자영업자 등 취약 계층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겠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17일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녹실(綠室)회의(사진)를 열고 “다음주 초 코로나19 고용 충격을 극복하기 위해 관계부처들이 긴밀히 협의해온 고용안정 정책 대응 패키지 대책을 확정해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과 노형욱 국무조정실장, 강신욱 통계청장, 이호승 청와대 경제수석. 황덕순 청와대 일자리수석 등이 참석했다. 통계청은 이날 ‘3월 고용동향’에서 취업자 수가 19만5000명 감소하며 10년10개월 만에 가장 크게 줄었다고 발표했다.
홍 부총리 등 참석자들은 “코로나19로 인해 숙박·음식, 도소매, 교육 등 서비스 업종을 중심으로 일자리가 심각하게 영향을 받고 있다”고 했다. 특히 코로나 피해가 임시·일용직, 특수형태 근로자, 자영업·소상공인 등 취약계층에 크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들은 “최근 상황에 대한 엄중한 인식을 바탕으로 코로나19가 일자리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방위적 총력 대응 노력을 배가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어 “서비스업이 조속히 정상화되도록 방역 노력을 지속해서 강화하고, 실물 부문 전반으로 영향이 파급되지 않도록 기업들을 살리고 일자리와 국민의 삶을 지켜내는 데 주력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다음 주 초 고용안정 정책대응 패키지 대책을 내놓을 계획이다. 대책에는 고용유지대책, 실업 대책, 긴급일자리·새로운 일자리 창출 대책, 사각지대 근로자 생활 안정 대책 등이 포함된다.
양민철 기자 list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