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국민들의 불안이 지도자에 대한 지지율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다만 전문가들은 이같은 현상이 일시적이며 위기가 지나가면 유권자들의 심판이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15일(현지시간) “코로나19로 거의 모든 나라에서 지도자에 대한 국민들의 지지율이 올랐다”면서 “다양한 생각을 가진 국민들이 정권을 위해 힘을 모으기에 위기만한 것이 없다”고 보도했다.
여러 국가에서 정권에 대한 지지율은 최고 수준을 보여줬다. 코로나19로 2만명 이상이 사망한 이탈리아에서 주세페 콘테 총리의 지지율은 코로나19 이전보다 27%포인트 오른 71%로 나타났다.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코로나19 대응에 우왕좌왕하다가 나라를 혼란에 빠뜨렸다”는 비판을 받은 데 이어 본인 자신도 코로나19에 감염돼 병원 신세를 졌다. 그럼에도 영국 정부는 국민들로부터 최근 수십년 내 가장 큰 지지를 받고 있다고 매체는 전했다.
유사한 사례는 이전에도 있었다. 2011년 조지 W. 부시 전 미국 대통령의 9·11 테러 전 지지율은 51%였지만 9월 말엔 90%까지 치솟았다.
NYT는 “대중은 혼란스럽고 두려움을 느낄 때 정부를 신뢰하는 경향이 있다”면서 “국민들이 자신과 정부를 동일시하게 되고, 정부를 무기력한 상태로 두는 것을 견디지 못한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혼란이 끝나면 심판이 온다는 것 또한 역사는 보여준다”면서 “지도자들은 코로나 위기가 불러온 불평등과 실업, 부채 등의 이슈가 정치적 논란의 전면에 부각될 때를 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미 그런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한 곳도 있다. 취임 이후 지지율이 25%를 넘은 적이 없었던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코로나19 발생 이후 지지율이 59%를 찍었다. 지금까지 중 가장 높은 수치다. 하지만 그가 지난 13일 “코로나19에 대한 정부의 대응에 문제가 있었다”고 인정하면서 봉쇄조치 연장 계획을 발표하자 43%로 내려앉았다. 프랑스인들은 ‘우리 정부는 왜 팬데믹에 아무 대비를 하지 않고 있었는가’에 대해 벌써 생각하기 시작한 것이다.
영국 외교정책 싱크탱크인 채텀하우스의 로빈 니블렛 소장은 “국민들은 위기 상황이 끝나고 그동안 치른 대가를 깨닫는 순간 누가 얼마나 책임을 져야 할지 물을 것”이라면서 “가을이 오면 지도자들은 지난 위기에 대한 ‘계산서’를 받아들고 아주 힘든 시기를 보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