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비 엇갈린 재난긴급생활비 신청 현장… 소득 2만원 넘쳐 제외되기도

입력 2020-04-16 16:27 수정 2020-04-16 18:06
서울시 재난긴급생활비를 신청하러 온 주민이 16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신길3동 주민센터 앞에서 공무원의 도움을 받아 신청서를 작성하고 있다. 송경모 기자

서울시가 중위소득 100% 이하인 가구에 지급하는 ‘재난긴급생활비’의 현장신청이 16일부터 시작됐다. 이미 50만명 이상이 온라인 신청을 했기에 큰 혼란은 없었지만 지원자격에 미달되거나 지원정보를 제대로 숙지하지 못해 발길을 돌린 이도 적지 않았다.

이날 오전 서울 영등포구 신길3동 주민센터는 재난긴급생활비를 신청하러 온 주민들로 북적였다. 오전에만 100명 이상의 신청자가 센터를 찾았다. 대부분은 혼자 온 고령층이었으며, 간혹 어린 자녀의 손을 잡고 온 젊은 부부도 있었다.

주민 윤석순(66·여)씨는 “긴급생활비가 나오면 식비로 사용할 것”이라며 “이걸로 건강식품도 살 수 있냐”고 되물었다. 주민등록등본을 떼러 왔다는 정영숙(83) 할머니도 “신청해서 돈이 나오면 먹고 싶었던 소불고기를 해먹어야겠다”며 “장이 안 좋은데 고구마도 한 박스 살 생각”이라고 했다.

하지만 몇만원 차이로 지원자격에서 배제되거나 신청가능한 요일을 잘못 알고 찾아와 신청하지 못한 주민도 적지 않았다.

건설업에 종사하는 전모(36)씨는 월소득이 기준보다 2만3000원 초과돼 지원 대상에서 배제됐다. 전씨는 “어린 두 딸의 분유와 기저귀 값으로만 한달에 30만원 넘게 나가는 상황”이라며 “규정상 어쩔 수 없다는 건 알지만 아쉬울 따름”이라고 허탈해했다.

재난긴급생활비 신청이 공적마스크 판매처럼 5부제로 시행된다는 사실을 모르고 주민센터를 방문한 주민도 많았다. 목요일인 이날은 출생연도가 4와 9로 끝나는 사람만 신청할 수 있었는데, 이에 해당하지 않은 주민들은 “해당일에 오시라”는 공무원의 설명을 듣고 돌아가야 했다.

영등포장애인복지관 관계자는 “(현장신청) 첫날인 만큼 많은 분들이 신청방법을 잘 모르고 찾아오셨다”며 “3분의 1에서 절반 정도는 신청가능한 요일을 잘못 알고 오셔서 돌려보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재난긴급생활비는 선불카드와 모바일 지역화폐 ‘서울사랑상품권’ 중 한가지로 지급된다. 저소득층 한시생활지원사업과 특별돌봄쿠폰, 실업급여 수혜자 등은 신청할 수 없다. 온라인 신청은 지난달 30일부터 시작됐고,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 다음달 15일까지 신청이 가능하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