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서울시장이 “2014년 4월16일을 잊지 않겠다”며 세월호를 추모했다.
세월호 6주기를 하루 앞둔 15일, 박 시장은 페이스북에 추모글과 동영상을 올리며 “봄이 찾아올 때마다 교복을 입은 아이들만 보면 마음 한쪽이 아렸다”고 말했다.
그는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국가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지게 됐다며 “그 질문이 국민을 위해 존재하는 나라를 만들어야 한다는 행동과 실천으로 이어져 끝내 거대한 촛불혁명을 이뤄냈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추모글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사태를 언급하기도 했다. 그는 “코로나19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국가는 최전선에서 싸우고 있다”며 “국민은 그런 국가를 신뢰하며 한마음으로 인내하고 협력하며 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전 세계가 놀라워하는 우리 국민의 저력 역시 ‘아이들에게 더이상 부끄러운 나라를 물려주지 말자’는 다짐과 노력이 만들어낸 것인지도 모르겠다”고 말했다.
그는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며 “약자에게 해를 끼치는 정치, 분열을 조장하는 정치는 반드시 없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시장은 “결코 2014년 4월16일을 잊지 않을 것”이라며 “모두의 일상이 온전하게 지켜지는 나라를 만들기 위해 남아있는 우리 모두 치열하게 살아낼 것이다”라고 글을 마무리했다.
이하 페이스북 글 전문
그날 이후, 봄이 찾아올 때마다 교복을 입은 아이들만 보면 마음 한쪽이 아렸습니다.
봄꽃 흐드러지던 날, 아주 긴 여행을 떠난 아이들이 자꾸 생각나서입니다.
그렇게 허망하게 보낸 것이 너무 미안해서, 너무 아파서 우리 모두 오래 울었습니다.
그때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묻게 되었습니다.
“국가란 무엇인가”
어느덧 세월호 참사 6주기가 되었습니다.
그사이 우리는 변한 것과 여전히 변하지 않은 것 그 사이 어딘가에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우리가 던졌던 질문이 국민을 위해 존재하는 나라를 만들어야 한다는 행동과 실천으로 이어져 끝내 거대한 촛불혁명을 이뤄냈습니다.
수백명의 세월호 희생자들이 선물한 대한민국입니다.
올 봄, 거리에는 교복을 입은 학생들이 없었습니다. 떠들썩 해야 할 학교는 조용합니다.
코로나19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국가는 최전선에서 싸우고 있습니다.
국민은 그런 국가를 신뢰하며 한마음으로 인내하고 협력하며 연대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가 놀라워하는 우리 국민의 저력 역시 ‘아이들에게 더이상 부끄러운 나라를 물려주지 말자’는 다짐과 노력이 만들어낸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렇게 우리는 세월호의 아이들에게 빚을 지고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변하지 않은 것이 많이 남아있습니다.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은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세월호 특별법 개정안’(4.16 세월호 참사 피해 구제 및 지원 특별법 개정안)은 여전히 국회에 계류되어 있고, 한쪽에서는 차마 입에 담지 못할 막말들이 유족들의 상처를 헤집고 있습니다.
평생 자식을 잃은 슬픔을 안고 살아갈 부모님들에게 어떻게 그럴 수 있습니까.
약자에게 해를 끼치는 정치, 분열을 조장하는 정치는 반드시 없어져야 합니다.
올해는 코로나 19로 인해 매년 광화문광장에서 치러왔던 추모제도 취소되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결코 2014년 4월16일을 잊지 않을 것입니다.
그리고 노력할 것입니다.
수학여행을 떠난 아이들이,
고향으로, 일터로 향한 가족이
안전하게 집으로 돌아오는 것이 당연한 나라,
모두의 일상이 온전하게 지켜지는 나라를 만들기 위해
남아있는 우리 모두 치열하게 살아낼 것입니다.
그것이 우리가 세월호를 제대로 기억하고 추모하는 방법일 것입니다.
김유진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