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백신 늦어지면 2022년까지 ‘거리두기’ 할 수도”

입력 2020-04-15 16:19 수정 2020-04-15 16:20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4일(현지시간) 백악관 캐비넷룸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완치 판정을 받은 환자와 가족들을 불러 간담회를 갖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백신 개발이 늦어질 경우 미국이 2022년까지 자택 격리나 학교 폐쇄 같은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를 견뎌야 할 수도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5일(현지시간) CNN에 따르면 미국 하버드대 T.H.챈 공중보건대학원 연구팀은 이같은 내용이 담긴 논문을 전날 과학전문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코로나 19에 대한) 치료 능력이 상당히 증가하거나 치료제 또는 백신을 사용할 수 없을 경우 간헐적 거리두기(Intermittent distancing)가 2022년까지 요구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심지어 (코로나 19가) 분명하게 제거된 경우에도 전염사태가 2024년 후반까지 재발할 수 있기 때문에 감시를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런 연구팀의 분석은 정부의 규제가 풀리자마자 바이러스가 굉장히 빠르게 되살아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CNN은 분석했다.

논문 주저자인 마크 립시치 교수는 “만약 간헐적 거리두기를 (코로나19에 대한 방안으로) 선택했다면 수년간 그렇게 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며 “분명 아주 긴 기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아무리 간헐적이라고 하더라도, 이처럼 장기간에 걸친 사회적 거리두기는 경제·사회·교육적으로 상당히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