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도쿄올림픽 조직위원회(이하 도쿄조직위)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1년을 미룬 올림픽의 추가 연기 가능성에 대해 “플랜 B는 없다”고 밝혔다.
AP통신은 15일 다카야 마사 도쿄조직위 대변인이 전날 외신기자들과 화상 인터뷰에서 “2021년 7월 23일에 올림픽, 8월 24일에 패럴림픽이 개막한다는 전제로 업무를 진행하고 있다”며 “그 외의 플랜 B는 없다”고 말했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도쿄조직위, 일본 정부, 도쿄도는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세계 체육계의 요구를 수용해 당초 오는 7월 24일로 예정됐던 올림픽 개막일을 정확히 364일 뒤로 미뤘다.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지난달 24일 밤 전화통화로 연기를 합의했고, 도쿄조직위는 같은 달 30일 새로운 개막일을 확정했다.
지난달부터 진정세로 돌아선 한국·중국·대만 등 일부 동아시아 국가들과 다르게 미주·유럽의 코로나19 확산세는 가파르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올림픽 연기를 결정한 뒤부터 일본에서 일일 확진자 수가 급증했다. 백신 개발 시점이 예측되지 않아 코로나19 팬데믹은 장기화 가능성이 예고돼 있다.
이런 상황에서 1년을 미룬 도쿄올림픽의 개최를 놓고 벌써부터 비관적인 전망이 나오고 있다. 무토 도시로 도쿄조직위 사무총장이 지난 10일 올림픽의 순연 개최도 장담할 수 없다는 취지로 발언해 비관론을 부채질했다.
일본 내 전문가들은 올림픽 연기에 따른 손실을 최대 7조원으로 추산하고 있다. 올림픽을 추가로 연기하면 손실 비용은 더 늘어날 수밖에 없다. 비용만의 문제가 아니다. 도쿄올림픽을 다시 해를 넘겨 연기하면 2022년으로 편성된 동계올림픽·아시안게임·월드컵과 일정이 겹친다. 2023년으로 연기하면 1년 뒤인 2024 파리올림픽의 예선을 소화할 수 없다.
도쿄올림픽 추가 연기보다 현실적인 대안은 취소로 볼 수 있다. 추가 연기를 놓고 “플랜 B가 없다”는 도쿄조직위의 입장은 이런 현실을 고려했을 가능성이 있다. 다카야 대변인은 “말할 수 있는 것은 내년에 도쿄올림픽·패럴림픽의 새로운 일정이 이제 막 결정됐다는 점”이라며 “올림픽 개최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