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오존경보제 전 시·군 확대 시행

입력 2020-04-15 15:37
경남도 보건환경연구원은 오존경보제를 도내 18개 시군 20개 권역으로 확대 시행한다고 15일 밝혔다.

그동안 14개 시·군 16개 권역에서 운영하던 오존경보제가 의령, 창녕, 산청, 합천 등 4개 지역에 측정망이 신규 설치되면서 도내 전역으로 확대됐다.

연구원은 오존경보제 운영 기간 동안 상황실 운영을 강화하고, 오존 농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또 고농도 오존이 관측될 경우 신속한 전파를 통해 도민의 건강 피해를 최소화한다.

오존경보제는 대기오염 측정망에서 측정된 오존의 1시간 평균농도를 기준으로 오전 농도가 0.120ppm 이상이면 주의보, 0.300ppm 이상이면 경보, 0.500ppm 이상이면 중대경보로 발령한다.

오존 주의보가 발령되면 어린이, 호흡기 및 심장질환자 등 노약자들은 실외활동을 자제 특히 오존은 두통과 기침, 눈 자극, 폐 기능 저하 등을 일으킬 수 있어 오존주의보가 발령되면 호흡기 환자나 노약자·어린이 등은 야외 활동을 자제하고, 실내나 서늘한 곳에 머무는 것이 좋다. 대기 중 오존 발생 농도를 줄이기 위해 자동차 운행 시 경제속도를 유지하고 불필요한 공회전을 금지하는 등 도민 참여도 필요하다.

경남에는 지난 2003년 오존경보제가 시행된 이후 지금까지 오존 경보가 발령된 적은 없으며, 지난해 26회에 걸쳐 오존주의보를 발령했다. 최근 3년간 월별 발령일 수는 5월 8~10일, 6월 4~14일, 7월 2~10일로, 5~7월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원은 오존주의보 및 경보가 발령되면 언론사 및 시·군청, 교육청, 휴대전화 문자메시지(SMS),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우리동네대기정보’, 에어코리아 등을 통해 즉시 전파하고 있다. 휴대전화 문자 수신을 희망하는 도민은 도보건환경연구원 홈페이지의 ‘대기오염 경보 SMS 신청’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임중근 대기환경연구부장은 “올해는 인구 밀집 및 오염 우려 지역에 대해 5개 측정소를 추가로 신설해 초미세먼지를 포함하여 인체에 해로운 대기오염물질로부터 도민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