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완치자 중 다시 양성 판정을 받은 사례가 124건으로 집계됐다. 방역 당국은 재양성 사례가 바이러스 변이와 관계있는지 면밀히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14일 격리해제 뒤 재양성으로 판정을 받은 코로나19 환자가 이날 0시 기준으로 전국 124명이라고 발표했다. 전날보다 8명 증가했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20대가 22.6%(28명)로 전체 재양성자 중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50대가 18.5%(23명)로 뒤를 이었고, 30대 15.3%(19명), 60대 12.1%(15명), 40대와 80대 각 10.5%(13명), 10대와 70대 각 4%(5명)로 확인됐다. 0∼9세에서도 3명(2.4%)이 재양성 판정을 받았다.
방대본은 바이러스 분리배양 검사와 혈액 항체 검사 등 심층 조사를 진행해 재양성 원인을 찾고 있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만약 바이러스가 분리·배양된다면 유전자 조사도 당연히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저희도 유의해서 변이를 보고 있다”며 “치료제와 백신 개발에서 중점적으로 보는 중요한 부분에 변이가 있는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지켜보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코로나19 자체가 변이가 많은 상황이고 진화의 한 과정”이라며 “다만 그 변이가 의미 있는 유전자 부위에서 발생하느냐에 가장 주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권 부본부장은 재양성 조사 내용도 투명하게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세계보건기구(WHO)의 전 세계 코로나19 유전자 분석 사이트에 한국의 분석 상황을 공개해 올려놓았다며 “만약 재양성 사례에서 특이점이 보인다면 당연히 공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코로나19 재양성 사례 조사는 방역 당국이 국립중앙의료원의 중앙임상위원회와 논의하며 직접 진행하고 있다. 권 부본부장은 “처음에 문제가 제기된 경북 봉화요양원 사례를 중심으로 바이러스 배양, 혈청 역학 분석 등을 통해 바이러스 재활성화 이유, 검사상 오류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조사하고 있다”고 전했다.
정부는 재양성 가능성을 고려한 새로운 격리해제자 관리 방안도 발표할 방침이다. 자가격리 해제 뒤에도 14일 자가격리를 권고하고, 격리해제자가 스스로 모니터링해 증상이 발생하면 즉시 재검사를 받도록 한다는 내용이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