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대 국회의원 총선거가 오는 15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 중 치러질 예정인 가운데 정부가 감염증 확산을 막기 위해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14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진행된 코로나19 정례브리핑에서 1m 거리두기와 발열 확인, 비닐장갑 사용 등 방역수칙을 준수해 달라고 당부했다. 특히 투표 인증을 할 때는 손등 등 신체에 도장을 찍는 대신 투표확인서를 발급받으라고 권장했다.
윤 반장은 “비닐장갑을 끼고 투표하는 이유는 손이 바이러스 접촉 감염을 전파하는 중요한 수단이며, 맨손이 아닌 비닐장갑 위에 투표도장을 찍는 경우도 감염 위험도는 낮지만 감염 우려가 있다”면서 “투표 인증과 관련돼 여러 가지 대안적인 수단들이 있다”고 말했다. 바로 투표확인증을 발급받는 방안이다.
윤 반장은 사회적 거리두기를 재차 강조했다. 그는 “국민의 소중한 권리인 투표는 꼭 하시되 그 외에 밀폐된 공간에서 여러 사람이 밀집하는 모임이나 활동은 자제해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선거일이 공휴일로 지정된 만큼 투표 후에 모임이나 나들이를 자제해달라는 요청이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은 이날 무증상 자가격리자들이 투표할 수 있는 방안도 공개했다. 투표 당일인 15일 투표에 참여하는 자가격리자는 관리자가 일대일로 격리 장소에서 투표소까지 동행한다. 수도권 등 유권자가 많은 지역에선 자가격리 안전보호 앱 등으로 관리한다.
당일 오후 5시20분부터 7시까지 격리가 일시 해제되며 이때 오후 6시 이전에 투표소를 방문하면 된다. 위성항법장치(GPS) 기능을 꺼서는 안 되며 별도 대기 장소에 대기할 때 자가격리자 간 2m 이상 간격을 유지하고 대화나 접촉을 하면 안 된다. 선거 종료 시각인 당일 오후 6시 이후 투표를 시작하며, 투표 후에는 다른 사람과 접촉하지 않고 바로 자가격리 장소로 복귀해야 한다.
휴대전화가 2G라 자가격리앱을 설치할 수 없거나 휴대전화가 없는 자가격리자는 출발할 때 담당 공무원에게 전화나 이메일 등으로 출발한다는 의사를 통보한 후 외출하게 된다. 그러나 예상되는 도착 시각에 투표소에 나타나지 않거나 귀가할 때 자택에 도착했다는 통보가 늦어지게 되면 역시 이탈로 간주하고 신고할 예정이다. 미리 투표 의사를 밝히지 않고 임의로 투표소에 오는 경우도 자가격리 무단이탈에 해당한다.
범정부대책지원본부 박종현 홍보관리팀장은 “인력이 부족한 지자체는 자가격리 앱을 통해 지리정보시스템(GIS) 상황판으로 이동동선을 관리한다”며 “만약 경로를 벗어나면 이탈로 간주, 경찰에 신고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하겠다”고 말했다.
이홍근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