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최대 피해 대구지역 자가격리자도 투표… 괜찮을까?

입력 2020-04-14 11:46 수정 2020-04-14 14:15
국민DB

정부가 자가격리자의 제21대 국회의원선거 투표를 결정한 가운데 대구에서도 400명에 가까운 자가격리자가 투표를 신청했다. 국민의 당연한 권리라는 의견과 함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국내 최대 확진자 발생지역에서의 자가격리자 투표가 불안하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14일 대구시에 따르면 투표 대상은 지난 1~14일(오후 6시까지) 자가격리통지를 받은 확진자의 접촉자 또는 해외입국자 중 선거 당일 발열, 호흡기 증상 등 코로나19 증상이 없는 선거인이다. 대구의 경우 자가격리자 2596명 중 지금까지 380여명(14일 오전 기준)이 투표를 신청했다.

투표를 신청한 자가격리자는 격리장소에서 지정투표소까지 이동시간이 자차(동승 불가) 또는 도보(대중교통 불가)로 편도 30분 미만인 경우에 한해 투표할 수 있다. 당초 거주지에서 투표소까지 전담 공무원의 1대 1일 안내 등이 논의되기도 했지만 공무원 인력 부족 등의 이유로 자가격리자 스스로 이동하는 것으로 결정됐다.

대구시 관계자는 “대구시가 자체적으로 1대 1 안내를 하지 않기로 결정 한 것이 아니고 정부 방침에 따른 것”이라며 “다른 시·군에서도 선거업무 등 행정적 업무 부담 때문에 정부에 스스로 이동을 건의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선거 당일 투표자에 한해 오후 5시20분부터 7시까지 자가격리가 일시 해제되며 투표는 일반 투표가 끝난 오후 6시 이후 따로 모여 별도의 기표소에서 투표하게 된다.

채홍호 대구시 행정부시장은 “현재 구·군의 전담공무원이 자가격리자의 선거권 보유 여부와 투표의사를 확인하고 투표 시 유의사항을 안내하고 있다”며 “일반 유권자의 투표가 종료된 이후 별도로 마련된 임시기표소에서 전담요원의 엄격한 통제 하에 투표를 실시하기 때문에 다른 유권자와 섞일 일은 없다”고 말했다.

지역에서는 국민의 참정권 보장을 위해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는 의견도 많지만 아직 완전히 안심할 수 없는 상황에서 자가격리자들의 투표가 위험한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무증상 판단도 사실상 1차적으로 본인이 해야해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있다.

대구 북구에 사는 김모(45)씨는 “투표가 중요하지만 자가격리자들이 밖으로 나오는 것이 아직은 불안하다”며 “시나 구·군에서 1대 1 안내는 못하더라도 전화 등으로 철저하게 동선파악을 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