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쩝, 전문가도 정책도 없구먼” 재계 총선 후보에 낙제점

입력 2020-04-13 17:30 수정 2020-04-13 18:16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대표가 12일 오전 충남 공주시 신관동 박수현 후보 선거사무소 앞에서 지원유세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관심 가는 인물도, 정책도 없다.”

국민일보가 13일 20대 그룹사와 주요 경제단체 임원 및 간부 19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재계는 21대 총선 후보자에 대해 전반적으로 경제 전문가가 눈에 띄지 않고, 현장에 기반을 둔 경제 정책도 별로 없다고 평가했다. 비례 후보군에 다양한 경제단체장이 많다는 데 기대와 우려를 동시에 했다. 또 코로나 19로 여권 후보들이 대거 국회에 입성할 가능성이 크다고 관측했다.

4대 그룹 한 간부 A씨는 “솔직히 경제계 출신 누가 나오는지 모른다. 더 정확하게 이야기하면 이번 총선에서 경제 관련 전문가로서 부각된 인물이 없는 것 같다”고 평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집계에 따르면 후보자 전체 1118명 가운데 1위 직군은 정치인으로 과반(52.8%)이었다. 다음으로 변호사(61명, 5.4%) 교육자(49명, 4.3%)가 뒤를 이었다.

경제계 인사는 금융인, 건설업자, 회사원 등을 통틀어 11.8%(118명)에 불과했다. 10대 그룹 임원 B씨는 “재계에서 인지도가 높은 대한상공회의소나 한국경영자총협회,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이나 부회장이 혹시 나왔다면 관심 가질 텐데 그런 후보는 없다”며 “딱히 기업의 이익을 대변해 줄 후보는 보이지 않아 아쉽다”고 말했다.

실제 주요 정당의 비례 당선권 안에는 중소·벤처업계 출신이 많다. 비례 득표가 중요한 이번 선거에서 각 정당은 득표에 유리한 각 경제군 대표자를 위주로 공천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비례 정당인 더불어시민당에서는 비례대표 2번에 김경만 중소기업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 4번에 이동주 한국중소상인자영업자총연합회 부회장이 배치됐다.

야당인 미래통합당 비례 정당인 미래한국당에서는 2번 윤창현 전 한국금융연구원 원장, 3번 한무경 전 한국여성경제인협회 회장, 9번 조명희 경북대 교수, 13번 이영 전 한국여성벤처협회 회장, 14번 최승재 전 소상공인연합회 회장 등이 눈에 띈다. 정의당은 비례대표 1번에 류호정 전 스마일게이트 근로자 대표를 배치했다. 열린민주당 6번 후보는 주진형 전 증권사 대표다.

미래통합당 김종인 총괄선대위원장이 12일 오전 경기도 수원시 지동교에서 경기 지역 후보들과 손을 높이 들고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4대 그룹 관계자 C씨는 “대기업이 힘들지만 중소기업은 더 힘든 시기 아니냐. 중소기업 관련 후보자들은 중소기업에 힘이 되는 정책을 많이 내줄 것”이라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반면 다른 대기업 간부 D씨는 “국회에 중소 경제단체 출신이 많으면 공익이 아니라 특정 집단에 도움이 되는 법안에 혈안이 될 가능성이 크고 그러면 여러 충돌이 생기고 갈등의 골도 깊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주요 정당의 경제 정책에 대해서도 실망스럽다거나 잘 모른다는 반응이 대다수(13명)였다. 또다른 대기업 간부 E씨는 “코로나19로 이번 총선에서 정당별, 인물별 경제 공약 등이 부각되지 않은 면도 있지만 후보 간 경제 정책에 대한 차별화를 발견할 수 없었다”고 꼬집었다. 여당은 현 정부의 경제 정책을 답습하고 야당은 규제개혁 등 추상적인 구호를 남발한다고 봤다는 것이다.

전문가로 영입된 특정 후보에 대한 호불호 반응도 있었다. 10대 기업 관계자 F씨는 주진형 전 대표에 대해 “지난 총선에서 여당이 영입했던 최운열 전 서강대 교수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위원, 한국증권학회장 등을 역임한 합리적 경제전문가였는데 주 전 대표는 재계에 반기업 정서를 가진 분이라는 인상이 강하다”고 했다.

답변자 대다수가 기억나는 후보가 없다고 했다. 다만 설문자 2명이 경기 고양 정 지역구에 출마한 더불어민주당 이용우 후보를 언급했다. C씨는 “카카오뱅크 출신인 이용우 후보는 스타트업 기업 육성을 공약으로 내걸었는데 그의 경력을 보면 기대된다”고 했다. 각 1명씩은 주진형 후보와 최재성 후보를 거론했다. 주 후보에 대해 반기업 정책 가능성, 최 후보에 대해서 종합부동산세 완화를 각각 관심 사항으로 제시했다.

재계 인사들은 총선 전망에 대해 대체로 언급을 피했으나 답변을 제시한 이들은 대체로 여당이 유리하다고 봤다. 주요 경제단체 임원 G씨는 “코로나19 이슈가 여러 경제 이슈에 대한 관심을 능가하고 있다”며 “현재 여권이 수도권과 호남에서 우세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여당이 과반은 무난히 달성할 것 같다”고 전망했다.

강주화 권민지 박구인 정진영 기자 rul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