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러스성 폐렴 같은 호흡기질환은 기온이 높아진다고 발병률이 낮아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러스는 높은 기온에서 활동성이 약화돼 곧 코로나19가 감소할 것’이라는 일부의 주장은 근거가 낮고 주의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반면 매우 높은 초미세먼지(PM2.5) 농도는 폐렴 발생률을 오히려 감소시켰는데, 이는 마스크 착용 같은 대책 효과가 발병률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가천대 길병원 G-ABC센터 정재훈 센터장은 2007~2017년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등록된 환자 약 200만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폐렴(바이러스, 세균, 기타 폐렴 포함)과 기상 상황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그 결과 바이러스성 폐렴을 비롯한 전체 폐렴 발병률은 평균 기온과 크게 상관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감염성 호흡기질환은 더위와는 상관없이 여름철에도 충분히 사람 사이에 전파될 수 있다는 뜻이다.
전체 폐렴 발생률은 일교차, 습도, 초미세먼지 등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만 일교차, 습도, 초미세먼지가 일방적으로 높거나 낮다고 해서 폐렴 발생률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하루 중 일교차는 5~10도, 습도는 50~70%에서 폐렴 발생률이 가장 높았다. 이 수치보다 높거나 낮을 때는 폐렴 발생률이 낮아졌다.
초미세먼지도 20㎍/㎥까지는 폐렴 발병 위험이 급격히 증가하다가 오히려 농도가 높아지면 줄어드는 추세를 보였다. 이는 초미세먼지가 바이러스나 세균의 활동을 위축시키기 때문이 아니다. 이런 날씨에는 많은 사람들이 마스크를 쓰고 외부활동을 삼가는 등 일종의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천하기 때문에 발병률이 낮아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정재훈 교수는 13일 “바이러스나 세균성 폐렴 발생률은 단순히 기온, 일교차나 습도와 상관있진 않았다”며 “오히려 사람들이 활동하기에 좋은 기온, 즉 적당한 일교차와 습도 그리고 너무 높지않은 초미세먼지 농도 등이 발생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고 말했다.
이어 “따라서 일각에서 제기되는 코로나19 바이러스 폐렴과 같은 질환이 기온이 높은 여름철에 무력화될 것이라는 추측은 잘못됐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흔히 독감(인플루엔자)은 추운 겨울에 유행한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최근 코로나19는 홍콩, 대만과 같이 온난한 지역뿐 아니라 브라질 등 열대성 기후를 가진 지역에서도 유행하고 있다.
실제 바이러스성 폐렴과 기상의 관계를 살펴보면 완전한 직선의 관계가 아니라 S자 커브를 보였다.
정 교수는 “결국 바이러스성 폐렴 같은 질환은 기상 상황보다는 사람의 활동에 더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점을 보여준다”며 “기상 변수는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질환에 대한 영향이 어떻다고 할 수 없지만 코로나19도 마스크 쓰기, 사회적 거리두기 같은 활동이 더 많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했다. 아울러 “사람이 활동하기 좋은 시기는 폐렴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들이 사람 사이에 전파되기 좋은 시기라는 의미”라며 “사람 간 접촉을 제한하고 마스크를 쓰며 손을 자주 씻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임상 미생물학과 감염(Clinical Microbiology and Infection)’ 최근호에 발표됐다.
민태원 의학전문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