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팬지의 대모’로 불리는 동물학자이자 환경운동가인 제인 구달 박사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은 인류의 동물 학대와 자연 경시에서 비롯됐다고 지적했다.
12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제인 구달 박사는 자신의 일대기를 다룬 내셔널지오그래픽 다큐멘터리 ‘제인 구달의 희망’(Jane Goodall: The Hope) 개봉에 앞서 진행한 전화 회견에서 “코로나19와 같은 전염병의 출현은 수년 전부터 예견됐다”며 이같이 말했다.
구달 박사는 “우리가 숲을 파괴하면 여러 종의 동물이 가까이 살아갈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해 질병이 한 동물에서 다른 동물로 전염되고 있다”며 “감염된 동물이 다시 인간과 접촉하면서 결국 인간을 감염시킬 가능성이 커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구달 박사는 특히 야생동물 도축 시장과 공장식 밀집 농장에 대해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아프리카와 아시아 일부 지역 특히 중국에서 야생동물들이 사냥 되고 육류 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전 세계 수십억 마리의 동물이 공장식 밀집 농장에서 사육되고 있다. 이는 바이러스가 동물에서부터 종을 뛰어넘어 인간에게 전염될 기회를 만들어준다”고 지적했다.
구달 박사는 중국이 야생동물 시장을 폐쇄한 것을 언급하며 “중국 당국이 야생동물 시장을 폐쇄한 것은 환영할 만한 일이다. 이 금지조치가 영구적으로 이뤄지길 희망한다”고 했다.
코로나19 이후 중국 당국은 야생동물 거래와 식용을 금지하고 야생동물 농장 수만 곳을 폐쇄했다. 중국 광둥성 선전시는 5월 1일부터 개와 고양이의 식용을 금지하는 조례를 제정했다.
구달 박사는 아프리카의 경우 더 세심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아프리카에서는 너무 많은 사람이 생계를 위해 야생동물 판매에 의지하고 있다. 가난한 사람들은 윤리적 선택을 할 수 없다. 그들은 살아남기 위해 무엇이든 한다”며 “빈곤을 줄이기 위해 각 개인이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끝으로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광범하게 이뤄지는 봉쇄조치들은 사람들을 각성시킬 것”이라며 “우리는 자연계 일부이고, 자연을 파괴하는 일은 우리 아이들에게서 미래를 훔치는 일임을 깨달아야 한다”고 전했다.
영국 출신인 제인 구달은 수십 년에 걸친 침팬지 연구를 통해 획기적인 사실을 밝혀낸 영장류학자로 유명하다. 현재 전 세계를 돌며 자연보호와 침팬지 권익 향상을 위한 운동을 벌이고 있다.
최민우 기자 cmwoo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