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의 장기화로 인해 피해를 입은 문화예술관광 분야 위기극복을 위한 긴급 대책을 발표했다.
경기도는 문화예술관광 분야 종사자들의 위기극복을 위해 긴급활동 지원, 취약근로자 보호, 공공시설 입주단체 임대료·사용료 감면 등 3개 분야에 총 103억원을 지원하는 ‘경기도형 문화뉴딜 프로젝트’를 시행한다고 13일 밝혔다.
장영근 도 문화체육관광국장은 이날 도청에서 영상 브리핑을 열고 “도내 문화예술관광 분야는 작년 아프리카돼지열병부터 코로나19까지 재난상황을 맞아 6개월 이상 장기침체에 빠져있다”면서 “경기문화재단, 경기관광공사, 경기콘텐츠진흥원, 경기아트센터, 한국도자재단 등 5개 공공기관과 협업해 문화예술관광 분야 지원을 위한 경기도형 문화뉴딜 프로젝트를 준비했다”고 말했다.
재원은 이들 5개 공공기관이 기본재산 활용 등으로 35억원, 사업재편을 통해 63억원 등 총 98억원의 재원을 확보했다. 여기에다 임대료·사용료 등 감면액 5억원이 포함됐다.
도에 따르면 전업 예술인, 도예인, 영화종사자, 인디뮤지션, 프리랜서 강사 등 2413명과 예술단체, 관광업체, 펜션업계, 관광식당업계, 지역서점, 콘텐츠기업, 공공시설 입주업체 등 1732개 단체를 지원한다.
긴급활동 지원 분야는 10개 사업을 추진해 1500명 및 1046개 단체를 지원한다.
심사와 정산을 간소화한 신속공모 사업을 통해 위기에 처한 예술인 1000명을 지원하는 ‘백만원의 기적’, 도민들이 유료관광지와 펜션 등 숙박권 가격을 최대 70%까지 할인된 가격으로 선구매하고 할인금액의 일정액을 관광업계에 지원하는 ‘착한여행 캠페인’, 도예업체에 특례보증을 통해 업체당 최대 1000만원의 자금을 2.8% 내외의 저렴한 금리로 긴급 유동성을 지원하는 ‘도예인 상생 특례지원’, 경기아트센터 공연장을 활용해 도내 공연단체를 대상으로 무관중 공연 및 온라인 방송을 지원하는 ‘방방콕콕, 예술방송국’ 등이 주요 내용이다.
취약근로자 보호 분야에서는 온라인 교육 콘텐츠 제작과 지역서점 배송비용 지원 사업 등 7개 사업을 통해 활동이 중단된 예술강사, 영화종사자, 공예인, 인디뮤지션, 미디어센터 활동강사 등 프리랜서 등 913명과 500개 단체를 지원한다.
도립 박물관·미술관, 경기상상캠퍼스, 경기문화창조허브, 임진각 및 평화누리 등 공공시설에 입주해 있는 186개 업체를 대상으로 임대료·사용료를 감면한다.
장 국장은 “이번 대책은 나눠 주기식 접근보다는 문화예술관광 분야의 경쟁력 확보와 생태계 유지에 초점을 맞췄다”며 “도민들도 물리적 거리두기를 유지하면서 문화예술을 향유할 수 있도록 온라인 공연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겠다”고 했다.
도에 따르면 도내 박물관·미술관·공연장 등 문화시설 92%가 휴관하고 3월 영화관객수가 전년 동월대비 90% 가까이 감소하는 등 공연, 전시, 영화는 물론 주요관광지 입장객수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