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시장에서 구직자를 흡수할 수 있는 ‘빈 일자리’ 수가 8년 반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1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공개된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다.
빈 일자리는 조사하는 달 마지막 영업일 시점 구인 활동을 하고 있고 30일 이내에 일을 시작할 수 있는 일자리를 뜻한다. 올해 2월 마지막 영업일 기준 빈 일자리 수는 13만9485명으로, 1년 전보다 6만3318명 줄었다. 감소 폭은 2011년 8월(6만4377명) 이후 8년 6개월 만에 가장 크다.
고용 형태별로는 임시·일용직 빈 일자리 수가 2만7077명 감소해 1만3826명이었다. 임시·일용직의 경우 빈 일자리가 1년 새 3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감소분은 2011년 8월(2만8266명) 이후 최대다.
상용직 빈 일자리도 전년 동월보다 3만6243명 줄어든 12만5658명으로 나타났다. 300인 이상 사업체의 빈 일자리 수는 7414명에 불과하다. 지난해 같은 달보다 1868명 줄어들었다.
빈 일자리 수는 앞으로 더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고용시장 영향이 올해 하반기에 직접적으로 드러날 전망이기 때문이다. 성재민 노동연구원 동향분석실장은 “고용의 경우 경제 위기 영향이 당장 반영되기보다는 1∼2분기 정도 뒤에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며 “사업주가 버티기 때문에 순차적으로 영향이 오는데 코로나19의 경우 1∼2분기 정도 뒤인 3분기 말에 영향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