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스포츠는 어떤 변화와 마주할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은 종목별 규약에 감염병 대응 항목을 보강하거나 새로운 경향의 마케팅·미디어 소비 방식을 불러왔다. 앞으로 리그가 개막, 혹은 재개되면 경기장의 풍경도 달라질 수 있다. 그중 눈에 띌 변화로 ‘하이파이브’가 사라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미국 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 휴스턴 애스트로스의 더스티 베이커(71) 감독은 13일(한국시간) 자국 스포츠매체 디애슬레틱과 인터뷰에서 “리그를 시작하면 코로나19 감염을 막기 위해 하이파이브를 못하게 될 것”이라며 “잠재적으로는 하이파이브가 사라질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선수 간 물리적 접촉이 이뤄지는 세리머니를 기피하는 현상이 발생하면서 자연스럽게 기쁨을 표출하는 동작이 사라질 것이라는 예측이다.
베이커 감독은 ‘하이파이브를 한 최초의 선수’로 지목된 스포츠맨이다. LA 다저스 타자였던 1977년 10월 2일 홈경기에서 시즌 30호 홈런을 쏘아 올리고 동료 글렌 버크가 높이 든 손바닥을 마주쳤는데, 이게 ‘최초의 하이파이브’로 전해지고 있다. 미국 언론에서 하이파이브와 같은 세리머니가 설명될 때 베이커 감독의 이름이 수시로 등장한다.
그 이후로 하이파이브는 경기장에서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는 축하 방식이 됐다. 베이커 감독은 지도자로 전향한 뒤에도 승리할 때마다 빼놓지 않고 선수들과 하이파이브로 자축하고 있다. 하지만 코로나19가 억제돼 경기장이 개방된 뒤에는 달라질 수 있다. 메이저리그 사무국이 코로나19 예방 차원에서 하이파이브와 같은 선수 간 물리적 접촉 행위를 금지할 수 있다. 그렇게 한 시절이 지나면 하이파이브와 다른 동작의 축하 방식이 생겨날 것으로 베이커 감독은 판단했다.
세계 4대 프로야구 중 가장 먼저 정규리그를 시작한 대만 프로야구의 개막전에서도 하이파이브를 기피하는 동작이 있었다. 중신 브라더스 선수들은 지난 12일 대만 타이중 인터콘티넨털구장에서 퉁이 라이온즈와 가진 2020시즌 정규리그 개막전 홈경기에서 장내 아나운서의 호명을 받고 입장할 때 하이파이브를 대신해 깍지를 끼거나 허공에 손을 흔들었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