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총리 “코로나 이전 일상으로 영원히 못 돌아갈 수도 있다”

입력 2020-04-13 09:18
정세균 국무총리가 13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중앙재난안전상황실 서울상황센터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세균 국무총리가 13일 “생활방역 체제로의 전환 여부를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최근 코로나19 신규 환자 수가 감소세를 보이는 데 따른 것이다.

정 총리는 이날 오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이번 주 후반에는 그간 진행된 강도 높은 ‘사회적 거리두기’ 성과를 평가하고 생활방역 체제로의 전환 여부를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앞서 정부는 사회적 거리두기 기간을 오는 19일까지 연장했다.

정 총리는 “생활방역은 코로나19 이전 삶으로의 복귀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예전과 같은 일상으로는 상당 기간, 어쩌면 영원히 돌아갈 수 없을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이어 “어느 정도 경제·사회 활동을 영위하면서도 코로나19의 전파 위험을 낮추기 위해 필요한 강도로 사회적 거리두기를 지속하는 것이 생활방역”이라고 설명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종료에 따른 집단감염 사태 발생을 우려한 것이다.

정 총리는 “생활방역으로 전환할 수 있는 여건이 달성됐는지에 대해 의료계와 방역전문가들의 평가와 전망이 중요하다”면서 “섣부른 완화는 되돌릴 수 없는 대가를 치른다는 점에서 매우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하고, 전환시기와 방법에 대해서도 깊이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많은 국민들께서 기대하시는 것보다 오래 걸릴 수도 있고, 여러 번에 나누어 가야 할지도 모른다”며 협조를 당부했다.

자가 격리자를 통한 가족 간 감염 위험성에 관해서도 우려도 표했다. 정 총리는 “최근 유학생 등 해외에서 귀국한 자가격리자의 가족 간 감염사례가 증가하고 있다”며 “자가격리 기간 중에 가족이 감염이 되고 그 가족이 다시 지역사회로 전파할 위험이 있다”고 했다. 이어 “자가격리자와 가족분들은 가능하면 분리해서 생활해주시고 최대한 마주치지 않도록 노력해주시기를 당부드린다”고 강조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