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일부 주(州)에서 사업체와 점포 학교 재개 등 경제 재가동 논의가 조금씩 고개를 들기 시작했다. 하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환자는 부활절인 12일(현지시간) 54만명을 넘어섰다.
미 존스홉킨스대학은 이날 오후 1시36분(미 동부시간) 기준 확진자를 54만2023명으로 집계했다. 사망자 수는 2만1489명이었다. 미국은 확진자와 사망자 모두 가장 많은 나라가 됐다. 전 세계 코로나19 확진자의 4분의 1 이상, 사망자의 5분의 1 이상을 미국이 차지한다. 확산세도 지난 4일 3만3300명 신규 환자가 나온 뒤 하향 안정화하는 듯했지만 10일 사상 최대인 3만5100명으로 치솟았다.
그런데도 미국에서는 경제 재가동 언급이 잦아지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다음달 1일을 경제 정상화 시점으로 염두에 두고 있다. 앤서니 파우치 국립보건원 산하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소장은 이날 CNN방송 인터뷰에서 “조심스럽게 낙관적”이라고도 말했다.
파우치 소장은 다양한 규제 조치들을 한번에 중단할 수는 없다면서 지역별로 해제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나라의 재가동은 점진적인 과정이 될 것이라 언급했다. 앤드루 쿠오모 뉴욕 주지사는 이날 사업체·점포와 학교가 동시에 문을 여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학교가 보육시설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학교 문을 열어야 부모들이 알하러 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때문에 코네티컷·뉴저지주 등 인근 주와 협력해 동시에 학교 문을 열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필 머피 뉴저지 주지사는 일부 연구 결과를 인용하며 코로나19 신규 환자의 정점이 아직 오지 않았다고 말해다. 다만 머피 주지사는 사업체·점포의 폐쇄 조치를 내릴 때 뉴욕과 협력했듯 재개 조치도 광범위한 협조 속에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