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당국 “코로나19 이전 생활은 힘들다…생활방역 준비해야”

입력 2020-04-12 17:24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질병관리본부장)이 6일 오후 충북 청주시 질병관리본부에서 코로나19 국내 발생현황 및 확진환자 중간조사 결과 등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방역당국이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감소에도 예전 일상으로 돌아가는 건 어렵다며 피해 최소화를 위한 생활방역과 행동수칙 준수를 당부했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 본부장은 12일 충북 오송 질병관리본부에서 정례 브리핑을 열고 “코로나19 이전의 세상, 완전한 일상으로 복귀하는 것은 어렵다는 말을 많은 전문가들이 하고 있는 상황이며 방역당국도 마찬가지 입장”이라고 말했다.

정 본부장은 “코로나19로 시작된 신종 감염병 위기가 백신이 개발되거나 효과적인 치료제가 개발되는 등 효과적인 대책이 마련되기 전까지는 통제가 어렵고 장기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생활방역이 사회적 거리두기와 다른 개념이 아닌 연장선에 가깝다는 것을 말하며 “현재와 같이 고강도로 하고 있는 것을 어느 수준까지 유지를 하면서 그밖에 개인위생수칙 또는 환경관리 등 생활 속에서의 코로나19를 관리할 수 있는 다양한 지침과 제도, 지원 방안을 만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지난 10일 의료계와 인문·사회·경제 등 각 분야 전문가들이 모인 제1차 생활방역위원회를 개최한 데 이어 생활방역 5대 핵심 수칙까지 마련했다. 핵심 수칙은 ▲아프면 3~4일 집에 머물기 ▲사람과 사람 사이, 두 팔 간격 건강 거리 ▲한 주 1번 소독, 아침저녁 환기 ▲30초 손 씻기, 기침은 팔꿈치 ▲거리는 멀어져도 마음은 가까이 등이다.

정 본부장은 생활방역 전환의 전제 조건으로 전파 위험 감소와 사회 전반적 준비 정도를 꼽으며 “코로나19 전파 위험이 낮아져야 되겠고 그것을 전환하더라도 유지 가능한 생활방역체계라는 그런 사회 전반적인 준비가 되는 게 전제가 돼야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국민들에게도 구체적인 생활방역 수칙에 대한 의견을 물으면서 그전까지 기존 행동수칙을 준수해줄 것을 거듭 당부했다.

유승혁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