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경남, 주택용 미니태양광 발전소 보급 나섰다

입력 2020-04-12 14:40
주택용 태양광 설비. 경남도 제공

부산과 경남이 단독주택과 공동주택 등에 태양광 발전소를 보급하는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부산시와 경남도는 올해 45억원을, 도는 71억원의 사업비를 확보해 신재생 에너지 주택지원 사업을 시작한다고 12일 밝혔다. 부산과 경남은 올해 1900여 가구와 2000가구를 각각 보급할 계획이다.

신재생 에너지 주택지원 사업은 정부가 태양광 등 신재생 에너지 보급 확대와 주택 전력 자립률을 높이기 위해 태양열, 지열, 연료전지 등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설치하면 비용을 지원한다. 대상은 건축법에 따른 단독·공동주택 소유자이다.

주택에서 가장 많이 설치하는 3㎾ 규모의 주택 태양광 설비를 설치하면 비용은 503만원으로, 시군에 따라 가구당 323만원에서 최대 377만원까지 지원받는다. 지원금은 예산 범위 내 선착순으로 지원한다.

태양광 설비를 설치하면 매달 전기 요금을 줄일 수 있다. 가장 많이 설치하는 주택용량 3㎾ 태양광 설비를 설치할 경우 한 달 동안 320kWh 정도의 전기를 생산한다. 월 5만 원의 전기 요금이 나온다면 4만 원가량을 절약할 수 있는 전력 생산량이다. 전기 요금이 많이 나오는 가구는 누진제인 요금 부과 방식에 따라 더 큰 절감효과를 볼 수 있다.

또 한국에너지공단 그린홈에서 서비스를 신청하면 장기간 집을 비우는 등 전기 사용량보다 태양광 생산 전기가 더 많을 경우, 남은 전기가 이월돼 다음 달 전기 요금에 반영해 준다. 이런 이유 등으로 설치 후 2년가량이면 본인이 낸 투자비 회수가 가능하고, 태양광 패널(모듈)의 수명 20년 정도를 고려하면 본인부담금 회수 후 1000여만원의 경제적 이익도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경남도 이수부 에너지산업과장은 “신재생 에너지 설비는 전기료 절감이라는 경제적 효과와 전력자립률 향상으로 온실가스와 미세먼지를 줄이는 환경보호 효과도 기대된다”며 “태양광 설비 신청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줄 것”을 당부했다.

한편 부산시는 올해 1900여 가구를 시작으로 2022년까지 주택 3250가구에 9750㎾의 설비를 추가 보급할 계획이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