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대표적 민생 경제 범죄인 전화금융사기(보이스피싱)에 대응하기 위해 경찰청 단위의 전담 조직을 준비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12일 뉴시스에 따르면 경찰은 경찰청 내에 보이스피싱 전담부서 신설을 추진하고 있다. 이 부서는 경찰의 보이스피싱 사건 관리·지원, 제도·정책 연구, 해외 공조 등을 담당한다. 경찰청 수사국 안에 ‘과’ 소속인 ‘계’ 단위 조직으로 제안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또 지방경찰청에도 전담 수사인력을 추가 배치해 사건 대응 역량을 강화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다. 중국 동남아시아 등 해외 국가와의 공조도 확대할 예정이다.
보이스피싱은 생계 파탄까지 일으키는 주요 민생 범죄다. 지난 2월 보이스피싱 피해를 당한 20대가 극단적 선택을 하는 등 피해가 커지고 있어 강력한 대처를 요구하는 사회적 목소리가 높다. 변종 수법이 등장하면서 피해 사례도 끊이지 않는다.
경찰에 따르면 보이스피싱 피해액은 2017년 2470억원, 2018년 4040억원, 지난해 6398억원 등으로 매년 늘고 있다. 같은 기간 피해 건수는 2017년 2만4259건, 2018년 3만4132건, 지난해 3만7667건이다.
최근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틈타 재난기본소득, 정부지원대출 등을 미끼로 하는 수법까지 등장했다.
이성훈 기자 tellm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