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후생노동성 장관(후생노동상)을 지낸 마스조에 요이치 전 도쿄도지사가 일본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수가 정부 공식 발표의 10배에 이를 것이라는 주장을 내놨다.
9일 마이니치신문에 따르면 지낸 마스조에 전 지사는 인터뷰에서 “PCR 검사(코로나19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유전자 검사) 건수를 늘려야 한다고 애초부터 주장했지만, (일본 정부의) 움직임은 둔했다”고 비판했다. 그는 “(일본 내) 감염자 수는 실제 한 자릿수 정도 차이가 나는 것 아니겠냐. 정확한 현황 분석 없이 (긴급사태) 선언 발령의 가부를 판단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지적했다.
이날 NHK가 각 지방자치단체와 후생노동성의 발표를 집계한 바에 따르면 코로나19 감염자는 5714명이지만, 낮은 검사율을 고려할 때 5만 명대까지 늘어날 수 있다는 주장인 것이다. 실제 최근 영국 옥스퍼드 대학의 연구진이 지난달 20일까지 각국의 인구 100만 명 당 코로나19 검사 규모를 분석한 결과 일본은 117명으로 한국의 60분의 1(6000건 이상)에 불과했다.
마스조에 전 지사는 아베 총리에게 코로나19 대책을 자문하는 위원회의 역할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했다. 그는 “국민에게 부담을 강요하는 선언을 하려면 경제 전문가와 위기관리 스페셜리스트도 필요하지 않겠느냐”며 자문위를 구성하는 16명이 변호사를 빼면 감염증 대책 등 의료 분야 전문가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경제 활동, 사회 활동의 유지와 감염증 확산 방지라는 큰 두 가지 목적의 균형을 잡으면서 양립시키는 것이 정치가의 일”이라고 덧붙였다.
마스조에 전 지사는 이날 재난기본소득의 일환으로 모든 국민에게 1인당 10만엔을 지급해야 한다는 주장을 내놓기도 했다. 아베 총리는 지난 7일 코로나19 대응 긴급 경제대책을 발표하며 일정 기준 이상 수입이 감소한 가구에 30만엔을 지급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마스조에 전 지사는 제1차 아베 내각 말기인 2007년 8월부터 2년 남짓 일본 후생노동상을 지냈고, 2014년 2월부터 2016년 6월까지는 도쿄도 지사로 일했다. 일본 후생노동성은 한국으로 치면 보건복지부와 업무가 비슷하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