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완치 후 재확진 판정을 받은 사례가 전국에서 74건 확인됐다. 방역 당국은 재확진 원인 등을 종합적으로 조사하는 동시에 격리해제 된 환자 관리 대책을 고심하고 있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방대본)은 9일 정례 브리핑에서 “9일 0시 기준으로 격리해제 후 재양성 확인된 사례는 전국 74명”이라고 밝혔다. 이들 환자 중에는 무증상 상태에서 다시 확진 판정을 받은 경우도 있고, 호흡기 증상 등이 다시 발생해서 검사를 받은 사례도 있다. 아직 중증으로 이어진 사례는 파악되지 않았다.
정 본부장은 “개별 사례의 역학적·임상적 특징을 조사하고 있다”며 “일부 사례는 검체·혈청 검사로 바이러스가 분리 배양되는지, 감염력이 있는지, 항체가 형성됐는지 등을 심층 조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재양성으로 확인되는 시점에 2차 전파 사례가 있는지도 심층 조사해 (재확진자 바이러스) 전파 가능성과 위험성에 대해 판단하겠다”고 했다. 조사 결과가 나오면 전문가 의견 수렴을 거쳐 격리 해제된 이후 환자의 검사와 관리 대책 등 보완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완치 후 다시 양성 판정이 나오는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다. 브리핑에 배석한 이혁민 연세대 교수는 “재양성이 나오는 경우는 우선 바이러스가 재활성화된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다”며 “검사해서 측정할 수 있는 수치 이하로 바이러스가 감소했다가 여러 가지 이유로 다시 증식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감염증을 약하게 앓고 지나간 사람의 경우 면역력이 완전히 생기지 않아 일정 시간이 지나면 바이러스가 재활성화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 교수는 “바이러스 재활성화에 대한 부분은 우리나라뿐만이 아니라 현재 전 세계적으로 보고가 되고 있는 현상”이라며 “이 바이러스 자체가 재활성화를 일부 일으키는 특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이어 “여러 사례를 봤을 때 재활성 문제들은 바이러스의 특성과 환자의 면역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합쳐서 나타난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중국은 격리해제된 환자에게 2주간 추가로 자가격리를 하도록 하고, 격리해제 후 2·4주째에 다시 진찰을 받도록 권장하고 있다. 정 본부장은 “중국보다는 우리의 검사 정확성이 더 높다고 판단하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지침을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방대본은 재양성 사례를 신규 확진자로 분류하지 않고 별도로 정보와 통계를 파악하고 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