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와 대학 측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온라인 강의가 길어지자 학생들에게 1학기 등록금 일부를 돌려주는 방안을 논의했다.
방식의 차이는 있지만 일정 금액을 학생들에게 돌려주는 것에 대해서는 양측이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9일 교육부에 따르면 박백범 교육부 차관과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 신임 회장단은 지난 7일 회장단 취임 인사 겸 만난 자리에서 이 방안을 논의했다.
등록금 반환 방안은 이들의 공식 회의 안건은 아니었다. 박 차관과 대교협 회장단이 최근 대학가 사안을 나누는 과정에서 의견을 주고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부에 따르면 대교협 회장단은 ‘등록금 일부 환불’은 어렵다고 선을 그었다. 10년 넘게 등록금 동결로 대학들이 재정난을 겪는 데다가 코로나19로 외국인 유학생 기숙사 수용비용이 든다는 이유에서다. 또 학교 방역 및 원격수업 준비비용까지 지출하느라 재정이 빠듯하다는 입장이다.
등록금 일부 환불은 어렵지만 대신 대교협은 “코로나19로 아르바이트까지 끊긴다고 하니 학생들을 위해 특별장학금, 생활장려금 등을 대학별 여건에 따라 지급하는 방안을 생각해볼 수 있겠다”는 의견을 냈다.
이밖에도 ‘대학혁신지원사업비’처럼 정부가 지원한 사업비를 학생 지원 용도로 쓸 수 있도록 교육부가 일부 풀어주면 좋겠다는 의견도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박 차관은 이날 “대학이 학생들과 긴밀하게 소통하면서 학생 지원 방안을 찾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전했다.
앞서 이화여대·건국대·서울여대·숭실대 등 일부 대학은 아예 1학기 전체를 원격수업으로 진행하기로 했다. 이 밖에도 많은 대학들이 5월 초중순까지 온라인 강의 기간을 연장했다. 이에 등록금을 반환해달라는 대학생들의 불만도 쏟아지고 있다.
김유진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