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코로나19 극복 위해 초유의 사회경제적 일자리 1만2000개 만든다.

입력 2020-04-09 14:42

광주시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침체된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사상 초유의 사회경제적 시도를 하기로 했다. 서민들의 생활안정과 함께 급여소득을 소비로 연결시켜 소비-매출-생산의 선순환을 꾀하는 대규모 공공일자리 사업이다.
광주시는 “코로나19로 위협받는 서민경제 지원 차원에서 생활방역과 민생안정 분야 공공일자리 1만2000여개를 제공한다”고 9일 밝혔다. 지자체가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총력전을 펴는 것이다. 시는 공공일자리가 손님이 줄어든 골목상권을 살리고 돈줄이 막힌 민생의 어려움을 덜어주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는 이를 위해 생활방역과 돌봄, 교통 분야 등 총 23개 사업에 643억 들여 공공일자리를 만든다. 참여자들은 최소 3개월에서 최장 7개월간 일하고 시간당 8590만원의 최저 임금을 받는다.


4월부터 착수하는 생활방역 일자리는 1000여명을 채용해 44억원을 급여로 준다. 버스 등 대중교통 수단을 방역하거나 코로나19예방 열감지기를 운영하고 긴급생계비 안내·접수 업무도 맡게 된다. 다음 달부터 추진하는 민생안정 분야는 환경, 보육, 교통 업무 등에 599억원을 투입해 1만1395명에게 일자리를 제공한다. 이들은 도시환경 정비 등 시가지 환경개선과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지킴이 등으로 일하게 된다. 불법광고물 정비와 하천 친수시설 유지관리, 도시공원 환경정비 등의 업무도 맡는다. 사업별로 3~7개월 한시적으로 운영하며 최저임금을 기본으로 업무강도에 따라 급여를 차등 지원한다. 시는 코로나19로 매출이 급감한 여행업, 관광숙박업, 운송업, 공연업 등 특별고용 지원업종과 제조·중소 기업이 신규 인력을 채용하면 인건비 50%를 지원하는 사업도 별도로 벌인다고 설명했다. 여행·제조 업체 등에서 2000여명을 공개 채용할 때까지 급여의 절반을 대준다는 것이다. 시는 국비와 시 예산으로 재원을 충당하고 부족할 경우 재정건전성을 지키는 범위에서 지방채도 발행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시는 문화경제부시장 직속 ‘시민 공공일자리 지원센터’를 설치했다. 구체적 내용은 시 홈페이지에 ‘시민 공공일자리 지원센터’ 배너를 설치해 안내할 방침이다.
공공일자리 응시자격은 공모 접수일 현재 30일 이상 광주시에 주민등록을 한 시민이면 된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민생경제의 최후보루인 일자리가 생활안정을 위한 최고의 복지”라며 “코로나19 이후 소비부진, 저성장, 시민불안을 씻고 실업자를 줄이는 근본대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