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비상경제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총 2조4518억원을 투입해 경제대책을 마련한다. 도는 특별경영자금 규모 확대, 고용안정, 소상공인·중소기업 활성화 등 긴급 대응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김규식 경기도 경제기획관은 9일 경기도청 북부청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 같은 내용의 ‘코로나19 피해 최소화를 위한 비상경제대책’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코로나19로 모든 경제·소비활동이 위축되고 정서적 피로감이 높아짐에 따라, 경기도 차원의 신속·정확한 대책을 추진함으로써 민생경제의 충격과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목적을 둔 ‘경제방역’의 일환이다.
도는 이에 따라 ‘적기금융 지원 1조8500억 원’ ‘고용안정 590억원’ ‘소상공인 지원 5368억원’ ‘중소기업수출 지원 48억원’ ‘언택트(비대면) 플랫폼 구축 12억원’ ‘경제지원시스템 운영’ 총 6개 분야에 총 2조4518억원을 투자해 경제 전반에 대한 대응책을 시행할 계획이다.
도는 소상공인·중소기업이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코로나19 특별경영자금’은 기존 2000억원에서 9200억원을 더 확대해 총 1조1200억원을 융자 지원할 계획이다. 이중 중소기업 지원규모는 5200억원, 소상공인은 4000억원이며, 이와 별도로 유보액 2000억원을 편성해 급변하는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또한 경기신보를 통한 보증서 발급규모를 기존 3조1000억원에서 9200억원이 늘어난 4조원으로 확대했다.
즉각적인 긴급 고용대책으로 우선 코로나19로 중단된 각종 인력양성사업을 온라인으로 전환하고, 참여 교육생들에게 훈련수당 전액을 지급한다. 교육훈련 중단으로 생계에 곤란을 겪고 있는 강사들에게는 훈련비 30%를 선지급할 방침이다. 아울러 국비 150억원을 확보해 무급휴직근로자와 특수고용직, 프리랜서 등에게 월 최대 50만원씩을 2개월간 지급하는 ‘지역고용대응 특별지원사업’을 추진한다.
전통시장·소상공인 등 침체된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해 현재 지역화폐·신용카드 등을 통한 ‘재난기본소득’ 지급을 추진하고 있는 만큼, 올해 지역화폐 발행목표를 기존 8000억원에서 1조2567억원으로 상향했다.
자영업자들의 고용보험료와 노란우산공제 가입을 지원하고 신용등급 7등급 이하 극저 신용 소상공인을 위한 260억원 규모의 특별 자금지원도 실시한다.
김규식 경제기획관은 “감염병 문제는 경제문제와 직결된다는 인식을 갖고,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경제상황을 지속 점검하고 문제점을 찾아 상황에 맞는 핀셋 정책을 발굴해 나갈 것”이라며 “코로나19로 고통을 받고 있는 도민에게 어려움을 견딜 수 있는 버팀목이 될 수 있도록 선제적이며 신속·정확한 대응책을 통해 민생경제를 회복하는데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의정부=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