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중구가 인천국제공항 권역을 고용위기지역으로 지정해줄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8일 인천 중구에 따르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공항권역의 경영악화에 따른 고용위기가 심각한 상황이다.
이는 인천공항 이용객이 급감하면서 지역 기업들의 경영여건이 악화되고, 고용위기가 심각한 수준으로 악화된 데 따른 것이다.
인천공항은 지난해 12월만해도 1일 20만명이었으나 현재는 1일 1만명 수준으로 95% 가량 급감했다.
국적항공사 예상실적은 상반기를 기준으로 전년 대비 6조원 가량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면세점 등 상업시설의 매출이 1조원 이상 감소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문제는 무급휴직 및 희망퇴직 증가하면서 지역경제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구는 공항근로자들이 집중 분포해 있는 공항권역의 문제를 시급하게 해결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인한 무급휴직 및 희망퇴직이 증가할 경우 지역경제 붕괴 위기 고조됨에 따라 고용위기지역 지정이 필요하다는 것이 핵심내용이다.
지난달 27일 기준으로 유급휴직자 8700명, 무급휴직자 1만5000명, 희망퇴직자 1400명으로 파악되고 있다.
통계에 포함되지 않은 중소업체를 감안할 경우 실제 고용상황은 더욱 심각할 것으로 진단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인천국제공항공사의 수익 감소 규모도 연간 5666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항공수익 4737억원과 비항공수익 929억원이 감소할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이와 관련, 중구는 고용위기지역 지정권자인 고용노동부장관에게 사태의 심각성을 알리고, 고용위기지역 지정을 위한 절차를 추진하기로 했다.
지정절차는 중구청장과 지방노동관서장의 협의를 거쳐 사안이 확정되면 인천시 노사민정협의회에서 심의를 한뒤 고용노동부가 검토하고, 고용정책심의회가 심의절차를 이행하면 고용노동부장관이 지정 및 고시를 하게 된다.
지원기간은 최초 2년 범위 내에서 고용정책심의회 심의로 정하도록 되어 있다.
중구 관계자는 “공항지역의 경제 산업 고용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추진해야 하지만 현재 유·무급 휴직, 구조조정 등 고용위기 상황이 계속되면서 사태 파악이 어려울 정도”라며 “고용위기지역 지정 전 항공사 및 연계 협력사 금융지원 확대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