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감염폭발 진원지 되나… “학원도 운영중단 권고”

입력 2020-04-08 17:41
방역 당국은 8일 "인구밀도가 높고 젊은층 많은 수도권의 '폭발적 상황'을 가장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서울시가 유흥업소를 대상으로 사실상 영업중지 명령이라는 고강도 카드를 꺼낸 이면엔 젊은층을 중심으로 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제2차 파도’ 우려가 있다. 유흥업소 뿐만 아니라 대형학원 등 다수의 청년들이 집합하는 장소에서 확진자가 속출하면서 코로나19 확산 불씨가 지역사회에서 몸집을 불리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방역 당국은 학원이나 교습소같은 학업시설에 운영 중단을 권고하고 방역 지침 준수를 강제하는 등 행정명령으로 선제적 감염 차단에 나서기로 했다. 요양병원이나 종교시설 등 고위험집단의 방역 강화에도 고삐를 당길 방침이다.

방역 당국은 8일 오전 0시 기준으로 서울 지역 누적 확진자수는 578명으로 전체 확진자 수의 5.57%를 차지한다고 밝혔다. 특별재난지역었던 대구·경북 지역을 제외하면 경기도(596명·5.74%) 다음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은 확진자가 서울에 있다. 특히 이날 신규 확진자 수 53명 가운데 11명은 서울에서 나왔다. 전국에서 가장 많은 수치다.

문제는 디테일에 있다. 서울에서 발생하는 산발 감염 사례들은 활동량이 많은 젊은층이 주도하는 데다, 감염 전파가 쉬운 다중밀집시설에서 나오고 있다. 서울 동작구 노량진의 한 대형학원에서 발생한 확진 사례나 사태 초기부터 집단감염 뇌관으로 지목받던 유흥업소 확진 사례가 모두 이에 해당한다. 방역 당국은 다수가 밀집하는 밀폐공간에 1명의 확진자가 발생하면 전체 구성원의 30~40%까지 감염이 가능하다고 밝힌 바 있다. 학원이나 유흥시설의 경우 환기가 제대로 되지 않고, 거리두기가 어려운 장소라는 걸 감안하면 증상이 없는 ‘조용한 전파자’를 폭발적으로 발생시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젊은층은 코로나19에 감염돼도 치명률이 낮기 때문에 비교적 경각심이 적어 확진자 수도 많다”며 “문제는 서울이 대구·경북 지역보다 젊은 인구가 많고 인구밀도도 높아 무증상·경증 환자를 중심으로 더 큰 집단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우려했다.

방역 당국은 이날부터 학원·교습소 등에서도 교회·실내 체육시설 등과 마찬가지로 운영 중단을 권고하고, 행정명령을 강화하기로 했다. 불가피하게 운영을 하려면 방역 지침을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강사와 학생은 모두 마스크를 써야하고, 강의 중 학생 간 최소 1~2m 이상의 거리를 유지해야 한다. 학원에서 지정한 방역관리 책임자는 출입자 명부를 작성·관리해야 한다. 하루 2회 이상의 환기 및 소독도 필수다. 지침 위반 시 집합금지 명령이 떨어진다.

방역 당국은 고위험집단 방역 강화에도 나설 계획이다. 요양·정신병원, 교회 등 고령자나 기저질환자가 머물렀을 때 감염 위험이 높은 집단시설이 대상이다. 이들 시설의 방역관리자는 관내 지방자치단체나 보건소, 소방서 등의 유관기관과 긴밀한 비상연락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유증상자 발생 시 빠른 조치를 하기 위해서다. 확진자가 1명이라도 나오면 해당 병원이나 시설에선 전수 진단검사가 시행된다.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총괄조정관은 “고위험집단에 대한 방역 강화 지침은 시설별로 오는 10일까지 마련하겠다”며 “11일부터 본격적으로 현장에 적용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최지웅 기자 woong@kmib.co.kr